•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시대 사(師)에 관한 연구 - ‘박사’ 명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structor in the Three Kingdom - on the Term of 'Paksa'(博士))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6.02
27P 미리보기
삼국시대 사(師)에 관한 연구 - ‘박사’ 명칭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상연구 / 30권 / 1호 / 73 ~ 99페이지
    · 저자명 : 김성혜

    초록

    ‘사’(師)에는 운사·우사·조사 등에서 다스림[治]의 의미, 사교(師敎)에서 가르침[敎]의 의미, 그리고 화사·채약사 등에서 능통함[能]의 의미 등이 내포되어 있다. 당시 이러한 ‘사’의 역할을수행한 대표적 관직이 바로 ‘박사’이다. 박사는 고대사회에서 학문이나 전문적 기술에 종사하던사람에게 내린 관직 내지 존칭으로, 크게 유학계통과 기술계통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에 ‘가르침’의 의미가 강하다면 후자에 ‘능통함’의 의미가 강하다고 하겠다.
    고구려에 기록상 박사 명칭이 처음 등장한 것은 600년이지만, 이보다 훨씬 앞서 박사의 존재를 추정케 하는 기록이 있으며, 박사 관련 명칭으로 국자박사, 대학박사, 대학사 등이 등장한다.
    백제는 375년 박사 명칭이 처음 등장한 이후 6세기초반 유학계통의 오경박사가 등장하고, 6세기후반 ‘태학’이라는 교육기관의 존재를 추정케 하는 기록이 등장하며, 이후 유학계통에 국한되지 않고 역박사, 의박사, 노반박사, 와박사 등으로 전문적 기술자에게도 박사 호칭이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박사의 관등으로 고덕(9위), 나솔(6위), 장덕(7위) 등이 있는데, 유학계통의 오경박사의 관등이 기술계통의 역박사, 의박사, 노반박사의 관등보다 결코 높지 않은데서당시 기술자에 대한 인식을 알 수 있다. 한편, 신라는 651년 박사 명칭이 처음으로 등장한 것으로 추정되나, 금석문자료에는 훨씬 이전부터 박사 명칭이 등장한다. 일찍이 비석 제작 기술자로 추정되는 탁부박사(524년)에 이어 주종박사(771), 전자박사(872) 등의 명칭이 나타나는데, 이들 박사들은 대체로 기술계통에 능숙한 기술자로서, 장인들을 거느리고 해당 작업을 맡은 우두머리들을 가리키며, 그 기술의 정도에 따라 대박사와 차박사, 혹은 대박사와 조박사의 구분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고대사회에서 박사의 임무는 교육기관에서 『상서』를 비롯한 오경을 가르치기도 했고, 의· 역·산·천문·누각·노반·와·주종·전자 등 전문적인 기술을 전수키도 했으며, 『신집』·『서기』 등 역사서를 편찬하기도 했고, 때로 외교적 임무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들의 자질과고과에 대한 기록은 빈약한데, 그마저도 인품과 학식을 총체적으로 평가하지 않고 ‘경명’과 ‘강학’으로 인지적 측면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terms of teaching person since old times were Sa(師), Bu(傅), Sabu(師傅), Sayu (師儒), Sajang(師長), Paksa(博士), Kyokwan(敎官), Hakkwan(學官) et al. The term of Paksa which appeared frequently in the documents of ancient times designate the person which have a full knowledge or skilled. In the educational history especially, the term of Paksa is an official post or a title of honor which was allowed the person was employed himself on scholarship or expert skill in the ancient times.
    In Goguryŏ(高句麗), the term of Paksa appeared in 600 for the first time, but there is a document which is presumed existence of Paksa earlier than this. And the term of Paksa are KukjaPaksa(國子博士), DaehakPaksa(大學博士), DaehakSa(大學士). In Baekje (百濟), the term of Paksa appeared in 375 for the first time, and in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the Paksa of the Five Classics(五經博士), and in the latter half of the 6th century, the Taehak(太學) as a state educational institution. After that time, the term of Paksa is used a technical expert, for example, YŏkPaksa(曆博士,an almanac), ŬiPaksa (醫博士,a doctor), NobanPaksa(露盤博士), WaPaksa(瓦博士). In Silla(新羅), the term of Paksa appeared in 651 for the first time, but it had been appeared a long time ago in the materials in ancient monumental inscriptions. The term of TakbuPaksa(啄部博士,a technical expert who manufacturing a stone monument), ChujongPaksa(鑄鐘博士,a technical expert who manufacturing a bell), ChŏnjaPaksa(鐫字博士,a technical expert who inscribing letter on the copperplate et al.) appeared, these Paksas were a technical experts. And the classification of DaePaksa(大博士) and ChaPaksa(次博士), DaePaksa (大博士) and ChoPaksa(助博士) were made up of the degree of technique.
    The duty of Paksa were teaching of the Five Classics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raining of expert teniques, for example, medicine, arithmetic, astronomy, and editing of a history, for example, 『Sinjeep』(新集), 『Seogi』(書記), and discharging of diplomatical duty. But the records of the qualification and evaluation of Paksa are poor, as well overemphasize intellectual trai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사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