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사와 생활사의 조우 (The encounter of social history and life hist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09.06
24P 미리보기
사회사와 생활사의 조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15호 / 409 ~ 432페이지
    · 저자명 : 손숙경

    초록

    이 글은 최근 한국 역사학계의 중요 관심 주제로서 논의되고 있는 생활사 연구 동향을 종래 사회사에 대한 문제 의식과 결부하여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사회사와 생활사의 연구 동향을 문제 중심으로 보다 거시적인 구도 위에서 논의하였다.
    한국의 생활사 연구는 신문화사, 일상사, 미시사라는 서구학계의 동향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출발하였는데, 기본적으로 아래로부터의 역사를 지향하고 있다. 이것은 사회사 연구 역시 마찬가지이며, 이런 측면에서 사회사와 생활사는 일면 그 경계가 애매하다고 할 수 있다.
    종래 한국의 사회사는 사실상 사회경제사에 예속되어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점에서 사회사에 대한 한계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생활사로의 전환이 아니라 오히려 새로운 사회사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 필자의 입장이다.
    한편 사회사가 구조 중심의 역사서술을 지향함으로써 야기된 문제들에 대응하여 새로운 문화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것도 여기에서는 문제로 삼았다. 특히 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을 넘어서서 모든 것을 새로운 문화사로서 치환하려는 위험성을 경계하는 것이다. 문화라는 개념은 역사 현실에서 다각적 접근을 위해 소홀히 할 수 없는 의미 있는 ‘차원’이다. 신문화사는 이러한 문화를 매개로 하여 사회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시각’으로 자리매김 되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생활사가 종래 사회사에서 간과한 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더라도 그 방향은 사회와 문화를 결합한 이른바 사회문화사를 지향하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국에서 생활사 연구는 한국 특유의 사회사의 연구들이 갖는 한계를 직시하여야 하며 이러한 면에서 사회사와 문화사의 조우를 기대하는 사회문화사적 관점이 한국학계의 생활사 등의 연구에 시의성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생활사 연구가 개별 인간이나 특정 시공간에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역사 연구의 중요한 문제 의식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도 이 연구에서는 덧붙였다. 이러한 고민을 담을 때 생활사는 새로운 영역이라기보다는 새로운 전망, 즉 새로운 문제의식을 담은 성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ademic tendencies on life history paid great attention lately in history circles, relating to social history. I, therefore, would concentrate on the subjects rather than general tendencies of both circles and bring about discussions to those matters, relying upon the macroscopical structures.
    The active attentions and discussions over life history arose earlier in history circles. The studies have had close relations with the academic trends in Western, such as new cultural history, history of everyday life, microhistory and so forth. They have great interests in history on insignificant subjects which have been treated with disregard so far. Social history also do. Because of this feature, both may be considered to have continuance.
    Many of social history study of Korea has been subject to social economic history. To resolve the limits and the defects caused by, new social history should be needed, not diversion to life history. The attentions for new cultural history are also getting stronger against the problems caused by study of focusing on the structure which social history have been serving recently.
    But danger toward new cultual history, which must be considered as a determined goal to be accomplished by all cultural phenomenon just beyond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culture, should be kept cautious. The concept of culture has meaningful fields never to be ignored for multiple approaches. New cultural history should be located as a viewpoint, recognizing all over the society through a culture. In this context, life history would try to proceed in so-called socioculture history, combining society and culture, though life history has put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culture against ignorance by social history.
    An inclination toward socioculture history may be reasonable for historical approaches and it will be accomplished after the study of life history overcome tendencies depending upon the discussion of macro theory. The achievements of life history study need to confront with defects of social history in Korea circles, and considering this aspect, I think sociocultural approaches, the encounter of social history and life history mentioned above, timely and appropriate on this study.
    But although these kinds of studies have paid more attentions to individual persons and particular time and space, it doesn't mean to make light of our important critical discernment on history studies. Life history study would develop as a new viewpoint, containing new critical discernment, not as a new field through these concer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