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카구치 안고의 「일본문화사관」을 둘러싼 모험- 보편주의와 특수주의 사이에서 - (Adventures Surrounding Ango Sakaguchi’s Nihon Bunka Shikan : Between Universalism and Particularism)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4.12
22P 미리보기
사카구치 안고의 「일본문화사관」을 둘러싼 모험- 보편주의와 특수주의 사이에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日本思想 / 27호 / 79 ~ 100페이지
    · 저자명 : 김태경

    초록

    사카구치 안고(坂口安吾) 「일본문화사관(日本文化私観)」(1942)은 일본문화를 논할 때 반드시 거론되는 논저 중 하나이다. 「일본문화사관」이라는 제목은 유대계 독일인 건축가인 브루노 타우트(Bruno Taut)가 사카구치 안고보다 앞서 발표한 『일본문화사관(日本文化私観)』(1936)을 그대로 따온 것으로 약 5년여의 시차를 두고 발표되었다.
    나치스의 박해를 피해 일본으로 1933년에 망명한 세계적인 건축가 타우트는 이후 3년여의 시간 동안 여러 저작을 발표하였고 이로 인해 이른바 ‘타우트 신화’라는 현상이 생겨났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타우트의 주장에 대한 찬반에 상관없이 일본의 전통미를 말하는 데에 반드시 타우트가 등장하고 인용되는 풍조가 당시 건축계뿐만 아니라 1930년대 일본의 담론공간을 지배하고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사카구치 안고의 「일본문화사관」이 브루노 타우트의 『일본문화사관』에만 대응하여 쓰인 것은 아니며, 더 나아가서는 브루노 타우트 한 개인의 주장에 대한 직접적인 반박도 아니었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어쩌면 타우트가 그랬듯이 안고 역시도 ‘건축’을 출발점으로 한 ‘문화’론을 전개했을 뿐이고 이를 동시대적인 시류 앞에 던졌던 것이다.
    본고에서는 사카구치 안고의 「일본문화사관」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시대적 담론 속에 어떠한 가상의 상대를 상정했고 이에 맞서기 위해 취한 전략은 무엇이었나를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그 동시대적・현재적 의의를 다시금 고찰하고 조명해 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사카구치 안고 「일본문화사관」이 1930년대 일본에서 보편주의와 특수주의가 공모하고 있음을 폭로하는 동시에 이들 이중의 가상 적에 대한 무엇보다 철저한 비판이자 저항으로 기능하고 있었음을 밝혀낼 수 있었다. 이러한 사카구치 안고의 전략은 성공했을까. 그 답은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 달려 있다.

    영어초록

    Ango Sakaguchi’s Nihon Bunka Shikan (1942) is a article widely discussed when it comes to the topic of Japan culture. The title was borrowed from Nihon Bunka Shikan (1936) by German Jewish architect Bruno Taut.
    Taut moved to Japan in 1933 to escape the Nazis and published many books, thereby emerging as a legendary figure. His views were cited in all discussions of Japan’s traditional aesthetics. This trend of using Taut’s work as reference rules not only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but also in general discourse in 1930s Japan.
    However, Ango Sakaguchi’s Nihon Bunka Shikan was not written solely as a response to Taut’s book of the same title. It should not be perceived as a direct refutation to the views of Taut. Sakaguchi used architecture as a starting point in developing cultural discourse and brought up a subject in the same period.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Ango Sakaguchi’s Nihon Bunka Shikan. This will reveal the collusion between universalism and particularism in 1930s Japan, and show that the article served to criticize and resist the targeted enemies. Were Ango Sakaguchi’s strategies successful? The answer lies in those living in the pres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思想”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