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대부의 제주 체험에 따른 노인성(老人星) 인식의 변화 양상-조선조 16~19세기 체류 기록과 한시를 중심으로-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Old Man’s Star(Canopus) by the Jeju Experience of Sadaebu(士大夫)-Studying Records and Chinese Poetry in Joseon Dynasty period 16th–19thCentur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0.01
38P 미리보기
사대부의 제주 체험에 따른 노인성(老人星) 인식의 변화 양상-조선조 16~19세기 체류 기록과 한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65호 / 171 ~ 208페이지
    · 저자명 : 이현정

    초록

    이 연구는 노인성에 대한 인식이 제주라는 특수한 공간과 만나 변화하여 온 과정과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해당 인식은 조선조 사대부 계층을 주축으로 16~19세기에 걸쳐 변화․재생산 되는 과정을 겪었다. 조선의 공식 의례였던 노인성제는 16세기에 폐지되었으나, 사대부들은 줄곧 도가적 관념을 유가적 자장 속에서 자유롭게 운용하는 풍조를 좇았다. 이들은 제주를 막연한 선계(仙界)로 관념하였다. 이 인식 위에 16~19세기 동안 유배인, 위정자, 유람객들의 제주 체험이 쌓이고 알려지며 극적인 변주가 일어났다.
    이러한 시류는 17세기 중반 이후 한라산 정상에서만 노인성을 볼 수 있다던 ‘출현 인식’을 변화시켰다. 대정현(大靜縣), 서귀진(西歸鎭) 등에서 노인성을 목격하였다는 경험담이 한라산과 노인성 간의 견고한 관계망을 느슨하게 만들었다. 경험의 주체는 다름 아닌 유배인과 위정자였다. 체류 목적에 따른 개인적․계층적 욕구는 기존의 관념상으로부터 노인성 관측 장소가 여러 현실 공간을 경유토록 하는 계기가 되었다. 제주 체험이 전무한 사대부들이 체류 경험담을 차용하여 노인성에 대한 인식을 재고하는 흥미로운 양상도 수반되었다.
    더하여 노인성은 기존의 사대부 문학에서 축수(祝壽)나 만시(輓詩)의 소재로 정형화 되었으나, 제주와 노인성이 강력한 표상적 연계를 이룬 뒤에 위무, 자족, 의지 발현 등 다양한 체류 소회를 표현하는 문학적 소재로 변주하였다.
    제주 체류를 경험한 사대부들은 그들만의 특정 지향성 혹은 계층 의식을 노인성에 투영하였고, 16~19세기 조선 내에서 노인성에 대한 인식 변화를 이끄는 주요 동인이 되었다. 사대부층의 노인성 인식은 민간 영역으로 스미어 당신앙과 설화(지명유래담)에도 흔적을 남겼다. 이 변화의 흐름은 제주의 지리적 특수성과 역사적 배경이 맞물려 형성된 소산이기에, 조선조에 형성된 막연한 타관(他官), 절해고도(絶海孤島)의 유배지, 경승(景勝)을 갖춘 유람지라는 복합적인 제주의 정체성을 이해할 수 있는 소중한 지표로서 의의를 갖는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Scholar- officials (or sadaebu, 士大夫) class in the Jeju area towards the old man’s star(老人星). Through an examination of various materials we found that this change occurred primarily in Joseon Dynasty period 16th–19thcentury. In addition to the abolition of the old man’s star ritual in the 16thcentury, the changes emerged from a combination of the discourse produced by the residents of Jeju—such as the exiled, local politicians, and travelers—to the tendency of the sadaebu, who freely utilized Taoist concepts in the framework of Confucianism.
    We discovered two changes in the transmission and perception of the old man’s star through records and Chinese poetry that contained the experiences of sadaebu living in Jeju. The first was the departure from the strong connection between Mt. Halla(漢拏山) and the old man’s star, which resulted in the expansion of the locations where it appeared. This occurred frequently after the mid-17thcentury, with the old man’s star appearing in locations such as Daejeong(大靜), Seogwijin(西歸鎭), etc. This can be understood as a phenomenon that occurred when personal/class desires, depending on the reasons for staying, led to the materialization of the Jeju old man’s star from existing Taoist concepts. This perception also became a basis for changing the related perceptions of sadaebu, who had no prior experience living in Jeju.
    Additionally, the old man’s star became a subject used to express the intention of staying in Jeju by means of Chinese poetry(hansi, 漢詩) that included the experiences of sadaebu in Jeju. The old man’s star in preexisting sadaebu Chinese poetry was standardized as a subject representing celebrations of longevity(Chuksu, 祝壽) or condolatory poetry (Mansi, 輓詩).
    However, linked with Jeju, it imparted various meanings including consolation, self-sufficiency, an expression of resolve, a subject of scenery, based on the circumstances of the person staying on the Island. Thes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old man’s star were mainly derived from the process of projecting the specific tendency or class consciousness by sadaebu who resided in Jeju during 16th–19thcentury, Joseon Dynasty period. Later, this trend permeated into and left its mark on folklore traditions of Jeju.
    These changes are a result of the confluence of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Jeju and its historical background—transforming from a mysterious land, political area, a land of exile that is an Island far away from the mainland, to a place of travel that offers beautiful scener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identity of Jej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