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후기·조선 초 외국인 사향(賜鄕)과 투화성(投化姓) 고찰 (Bestowal of Designated Home towns(Sa’hyang, 賜鄕) to Foreigners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and the Family Names for Those Who Naturalized(Tu’hwa-seong, 投化姓))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1.12
34P 미리보기
고려 후기·조선 초 외국인 사향(賜鄕)과 투화성(投化姓)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현실 / 122호 / 141 ~ 174페이지
    · 저자명 : 이바른

    초록

    고려에는 전 시기에 걸쳐 다양한 출신의 외국인이 왕래하였으며 이주하기도 하였다. 고려 정부에서는 고려에 이주해 온 외국인을 대체로 수용하였고 이들의 정착을 도왔다. 이주 외국인에 대한 정착 지역, 거주지 이동, 후손의 양상 등이 다양하게 논의되었다. 특히, 고려 사회에 정착한 외국인을 시조로 하는 성씨가 많은 점은 본관과 거주지 일치라는 연구 시각 속에서 고려 사회에 이주해 온 최초 외국인의 거주지역 및 세거지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외국인의 고려 정착과 성씨 본관, 정부의 사향 등의 관계를 고찰하여 고려시대 외국인 정착의 실제상을 다각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고려시대에는 고려 사회에 정착한 외국인들이 본래 출신인 본국(本國)을 본관으로 사용하고 기록하였다. 고려 후기 몇 건의 사향, 사관 사례는 봉군호가 관직으로 역할하였던 체계 속에서 예외적으로 부여되었던 것이었다. 이는 외국인에 대한 고려 내 관향이 없더라도 본래 출신만으로 지내는 데 문제가 없었던 고려의 사회적 특징을 반영하였다. 그런데, 조선 초기 고려 이래로 여러 대에 걸쳐 정착한 외국인의 사향 요청이 있었다. 이는 고위관직을 역임하며 고려·조선 사회에서 사회적 기반을 다진 인물들의 인식적 측면, 권위 확보를 공고히 하고자 하는 노력이었다. 마지막으로 『세종실록』 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성씨조에서는 고려시대 외국인에 대한 관향 부여나 정착지 설정 및 이동의 양태 등을 확인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사성과 투화성이 나타내는 것은 주로 고려말·조선 초기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아 고려시대 외국인 이주의 사정을 종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영어초록

    During the Goryeo period, foreigners with a variety of backgrounds came to the Korean peninsula and even settled down. In most cases the Goryeo government accepted them, and helped them establish a new life in Goryeo. Attempted in this article i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ow the foreigners settled down here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period, by examining their initial acceptance, as well as the last names and Bon’gwan regions they were given.
    Various issues concerning these foreigners, such as where they settled down, to where they were relocated after their initial settlement, and what kind of lives their descendants led, have been discussed by many historians for quite some time. Many family names which belonged to houses that were originated by foreigners can be spotted from the Goryeo period, and because during the Goryeo period one’s Bon’gwan region was where one would reside for his or her entire life, the Bon’gwan regions (‘designated home towns’) attached to such family names were understood as where they were allowed to live, and also where they actually stayed for generations.
    In the Goryeo period, however, the foreigners who settled down in Goryeo would in many cases use the title of the country they were originally from as their Bon’gwan title. The government’s practice (only a handful of them to be exact) of providing a foreigner with a region (as a Bon’gwan) that we can see from the latter half of the Goryeo period were rather exceptions, in a period during which bestowed titles also functioned as sort of a governmental post. This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the Goryeo society, in which it was not a big problem for the foreigners to live in Goryeo without a Bon’gwan region.
    Yet coming into the Joseon period, several requests for government-designated family names (last names) were made by foreigners who had settled down already during the Goryeo period and lived there for generations. This was an effort to solidify one’s authority, or improve the society’s perception of them, who have been living through both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enjoying high-ranking governmental positions and well-founded living conditions.
    Searching for the exact Bon’gwan regions that were bestowed to the foreigners in the Goryeo period, through examination of the Geography Section in the Annals of the Sejong era in Joseon(Sejong Shillok Jiriji) or the Family Names entries in Sh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 is not an easy task. The practice of providing foreigners with last names, or “Last names for the Naturalized(‘Tu’hwa-seong)” for that matter, is still only spotted from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현실”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