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계본(季本) 『중용사존(中庸私存)』 연구 - 양명학적 경학의 한 예시(2) - (A Study o 『Zhongyong Sicun(中庸私存)』 by Jiben - a Yangmingist Commentary on the Classical Text (Ⅱ)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4.09
35P 미리보기
계본(季本) 『중용사존(中庸私存)』 연구 - 양명학적 경학의 한 예시(2)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양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양명학 / 74호 / 5 ~ 39페이지
    · 저자명 : 조희정

    초록

    『『중용사존(中庸私存)』은 절중왕문(浙中王門)으로 분류되는 양명의 직전제자 계본(季本:1458-1563)의 저작이다. 이 책은 주희의 『중용장구』의 체계와 유사하게 「서(序)」 - 중용에 관한 설명 – 본문과 주석의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용사존』과 『중용장구』는 모두 33장으로 분장되어 동일하지만 『중용장구』가 130절로 세밀하게 분절되어 있는 것에 비해서 『중용사존』은 69절로 분절되어 큰 차이가 확인된다. 계본은 『중용장구』의 분절은 체용과 내외의 합일을 이해하지 못한 결과라고 주희를 비판하고, 각 구절 간의 긴밀한 연관성을 이해해야 『중용』의 일관된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고 하였다. 특히 그는 심즉리와 체용합일의 관점에서 당시에 과거시험의 중요한 교제로서의 위상을 차지하고 있던 『중용장구』의 문제를 직설적으로 비판하는데, 계본의 사서에 대한 주석서는 주자학에서 양명학으로 전환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 의도이자, 동시에 마음의 자연성을 중시하여 욕망에 빠지는 양명좌파에 대한 비판과 아울러 양명학의 철학체계를 경학을 통해서 더욱 견고히 하고자 한 의도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계본은 천명(天命)-성(性)-도(道)-교(敎), 중(中)과 화(和), 미발과 이발, 은미함과 드러남, 덕(德)과 도(道), 성(誠)과 성지(誠之), 성(誠)과 명(明)과 같이 『중용』의 핵심 개념을 체용의 관계로 파악하면서도 이들의 관계는 일물(一物)로 파악하여 체용합일의 중용관을 제시한다. 그는 『중용』의 요지는 “은미함의 드러남”에 있으며, 그 공부는 은미한 곳에서 계신공구(戒愼恐懼)하는 근독(謹獨)일 뿐이라고 하였다. 계본의 근독 공부는 미발의 존양 공부와 이발의 성찰 공부를 하나로 관통하는 공부로, 자신이 가진 마음의 본체[獨知]로부터 두려워하고 경계하여 그 성실함이 외물을 접하는 상황에서도 변함없이 드러나게 하여 자신과 남을 이뤄 평천하에 도달하는 일련의 공부를 제시한다. 계본의 『중용사존』은 『중용』에 대한 주자학적 해석에서 벗어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양명학적 경학에 관한 연구뿐만 아니라 경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여 현대 신유학의 새로운 길을 모색함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Zhongyong Sicun is a work by Jiben(季本: 1458-1563), a direct disciple of Wang Yangming, associated with the Zhejiang School(浙中王門) of Wang’s teachings. This text is structured similarly to Zhu Xi’s Zhongyong Zhangju, with a preface explaining the Zhongyong, followed by the main text and commentary. While both works are divided into 33 chapters, Zhongyong Sicun has 69 sections, in contrast to the 130 sections in Zhongyong Zhangju. Jiben criticized Zhu Xi’s division, arguing that it failed to grasp the unity of ti-yong(体用, substance and function) and the inner-outer harmony, which he considered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 consistent message of the Zhongyong. Jiben critiques Zhongyong Zhangju from the perspectives of xin-jili(心即理, the mind is principle) and the unity of ti-yong. At the time, Zhu Xi’s interpretation of the Four Books held a significant position as a primary text for the imperial examinations. Jiben’s commentary was an effort to shift from Zhu Xi’s Neo-Confucianism to Wang Yangming’s School of Mind, while emphasizing the naturalness of the mind. He also sought to critique the left-wing followers of Wang Yangming who had succumbed to desires and to strengthen the philosophical framework of Yangmingism through classical studies.
    In Zhongyong Sicun, Jiben interprets key concepts of the Zhongyong—such as tianming(天命, Mandate of Heaven), xing(性, nature), dao(道, way), zhong(中, centrality) and he(和, harmony), weifa(未發, before the manifestation of emotions) and yifa(已發, after the manifestation of emotions), the hidden and the revealed, de(德, virtue), cheng(誠, sincerity) and ming(明, clarity)—through the relationship of ti-yong, viewing these not as separate entities but as a unified reality(yiwu, 一物). He argues that the essence of the Zhongyong lies in the “manifestation of the hidden,” with the practice focusing on solitary, cautious cultivation(jindou, 謹獨) in the hidden aspects of oneself. Jiben’s approach connects the study of nourishing the undeveloped state(zunyang, 尊養) with the introspection of the manifested state(shengcha, 省察), ensuring sincerity remains constant even in interactions with external things. Zhongyong Sicun offers a departure from Zhu Xi’s interpretation, providing a new perspective on Yangmingism and contributing to the exploration of contemporary Neo-Confuci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