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서울 ‘중기 南社’의 결성과 활동 양상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activity of ‘the mid-period Namsa(南社)’, Sŏul in the 19th century)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4.04
37P 미리보기
19세기 서울 ‘중기 南社’의 결성과 활동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64호 / 195 ~ 231페이지
    · 저자명 : 진민희

    초록

    1784~1840년 서울 南村에서 활동하던 초기 南社(楠皐詩社)의 후배 문인들은 1832년부터 남촌의 시사를 계승하여 중기 남사로 활동했다. 중기 남사의 결성은 洪翰周의 글, <南園唱酬集鈔>(『海翁詩藁』』卷2‧3), 「南園唱酬集序」(『海翁文藁』』卷3), 「南園唱酬集」(『智水拈筆』 卷8)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고는 1832년부터 1839년까지를 중기 남사의 1기 활동기로, 이후 1839년부터 1865년까지를 중기 남사의 2기 활동기로 비정한다. 1기와 2기를 나누는 기준은 <남원창수집초> 마지막 작품의 창작년도로 정한다. 2기 활동 양상은 19세기 서울 내 주요 시사의 창작시를 선별해 엮은 『槎橘』과 개인 문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중기 남사의 1기(1832~1839) 동인은 洪翰周‧徐有英‧宋柱獻‧洪在鳳‧徐岐輔·徐世輔‧徐得淳‧崔憲秀‧李升遠‧洪祐吉‧洪吉周‧洪祐健‧李★土+喜‧李㘾 등 총 13명이다. 이들은 서유영의 자택 南園과 현석동 근처에 자리했던 홍한주 친인척 소유 별서에서 주로 활동하였다.
    중기 남사의 2기(1839~1865) 동인은 기존 동인에 더하여 서울의 신진 문인들이 대거 유입되었다. 대표적인 인물로 權用正‧金尙鉉‧金永爵‧金在顯‧徐堂輔‧徐承輔‧徐種淳‧沈斗永‧尹正鎭‧李晩用‧李★土+敏‧任百經‧趙在應‧洪顯周 등이다. 2기는 19세기 중기에 형성된 서울의 대형 시사와 적극적인 교류를 이루었다. 주로 1860년부터 1865년까지 서유영을 필두로 남사의 문인들이 북사와 낙사 인물들과 시회를 벌이는 모습이 자주 포착된다.
    중기 남사를 구성하는 동인의 성격은 첫째, 서울 남촌 거주 경화세족의 후예이지만 벼슬하지 않거나 말직에 있는 이들이다. 둘째, 같은 당파에 인척관계로 얽힌 경우가 많다. 셋째, 초기 남사(남고시사)의 후배 문인들이다. 이들은 대부분 世交를 통해 남사를 계승했다. 넷째, 경화세족‧몰락사족‧중간계층 문인 등 사회계급을 넘어선 문학 교유 활동을 펼쳤다. 이는 남촌의 지역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중기 남사는 다독과 박학을 추구하고, 장서에 취미를 두었으며, 훈고학을 중시하고, 이러한 문학적 취향을 반영한 시 짓기를 즐겨했다. 또한 19세기에 유행한 神韻論을 수용하고, 작품에 적용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신운론은 작가의 개성만으로는 시를 짓기 부족한 경우 서로 다른 학문 및 예술적 기호에 근거하여 격조 높은 시를 창작하는 것을 추구하는 문예론이다.
    기왕의 연구에서 홍한주·서유영이 결성한 중기 남사의 존재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지만, 지금까지 그 실체를 깊이 고찰은 본고가 처음 시도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로 19세기 중반에 활동한 중기 남사의 활동을 확인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영어초록

    Junior Writers of early Namsa(南社: Namgo Poetry club(楠皐詩社))’s writers who were active in Namch’on(南村), Sŏul between 1784 and 1840 succeeded poet club in Namch’on from 1832 and made the mid-period Namsa. The formation of the mid-period Namsa is discernible through writings of Hong Hanju(洪翰周), such as Namwŏnch’angsujipch’o(南園唱酬集鈔), Namwŏnch’angsujipsŏ(南園唱酬集序), and Namwŏnch’angsujip(南園唱酬集). This paper delineates the first phase of the mid-period Namsa from 1832 to 1839, and distinguishes the second phase from 1839 to 1865. The first phase marks its inception with the final piece of Namwŏnch’angsujipch’o. The activities of the second phase are discernible through Sagyul(槎橘), which was a selected collection of created poets of major poet clubs in Sŏul in the 19th century and other individual literary collections.
    Writers in the first phase(1832~1839) of mid-period Namsa were Hong Hanju, Sŏ YuYŏng(徐有英), Song Chuhŏn(宋柱獻), Hong Chaebong(洪在鳳), Sŏ Kibo(徐岐輔), Sŏ Sebo(徐世輔), Sŏ Tŭksun(徐得淳), Ch’oe Hŏnsu(崔憲秀), Yi Sŭngwŏn(李升遠), Hong Ugil(洪祐吉), Hong Kilju(洪吉周), Hong Ugŏn(洪祐健), Yi hŭi(李★土+喜), and Yi U(李㘾), totaling thirteen members. They were mainly active in Namwŏn(南園), the residence of Sŏ YuYŏng, and in the separate residence of Hong Han-ju’s relative, which was near Hyŏnsŏkdong.
    In the second phase(1839~1865) of mid-period Namsa, many new writers in Sŏul joined the club in addition to existing writers. Notable figures included Kwŏn Yongjŏng(權用正), Kim Sanghyŏn(金尙鉉), Kim Yŏng-jak(金永爵), Kim Chaehyŏn(金在顯), Sŏ Tangbo(徐堂輔), Sŏ Sŭngbo(徐承輔), Sŏ Jongsun(徐種淳), Sim Tuyŏng(沈斗永), Yun Chŏngjin(尹正鎭), Yi Manyong(李晩用), Yi min(李★土+敏), Im Paekgyŏng(任百經), Cho Chaeŭng(趙在應), and Hong Hyŏnju(洪顯周). These writers interacted actively with large poet clubs in Sŏul, which were formed in the mid 19th century. Particularly from 1860 to 1865, frequent gatherings between writers in Namsa such as Sŏ YuYŏng and those in ‘Puksa’ and ‘Naksa’ were caught.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ers in mid-period Namsa were as follows : First, they were descendants of the prominent noble families residing in Sŏul(Gyŏnghwasejok 京華世族), but didn’t hold office or were in unimportant post. Second, they were in the same faction and entangled in relatives in many cases. Third, they were juniors of early Namsa(Namgo Poetry club)’s writers. Last, they have a literary companionship beyond social classes including the Noble families in Sŏul, the fallen nobility(沒落世族), and mid-class writers(中人階層文人). This was a result that reflecte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Namch’on.
    It seems that Namsa adopted Sinunnon(神韻論) that was prevalent in the 19th century and had willing to apply it to their works. Sinunnon is a literary theory that persues a high-quality poetry based on the academic and artistic tastes of different writers when a writer's personality alone is not enough to compose a poem.
    While the existence of mid-period Namsa that was formed by Hong Han-ju and Sŏ YuYŏng has been consistently acknowledged in some existing studies, there has been no thesis that study the substance of Namsa in-depth.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could shade light on the activities of Namsa in the mid-19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