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月精寺에 대한 인식의 역사적 변천과 그 의미 (The Historical Transition and Meaning of Recognition of 月精寺)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0.08
32P 미리보기
月精寺에 대한 인식의 역사적 변천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논집 / 89호 / 5 ~ 36페이지
    · 저자명 : 신성환

    초록

    본고는 오대산을 대표하는 사찰인 월정사에 대한 인식의 역사적 변천을 살펴보고 그것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창건에서부터 조선후기까지 월정사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월정사 홈페이지에는 신라 선덕여왕 12년(643)에 자장율사에 의해서 창건되었다고 밝히고 있지만 창건과 관련된 여러 기록들을 검토한 결과, 자장이 처음 터를 방문한 것은 맞지만 하나의 사찰을 형성하게 된 것은 신효-신의-유연 등의 인물들을 거치면서였다. 자장이 창건주로 자리하게 된 것은 고려후기에 이일 스님이 월정사를 대대적으로 중창하고 寺格이 상승했던 것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어서 조선조 월정사에 대한 인식을, 현재는 월정사의 末寺인 상원사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조선전기 상원사는 국가가 주도하는 水陸齋를 지내는 곳이었고, 세조의 願刹로 지정되면서 국가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지원을 받는 사찰이었다. 불교 혁파의 과정에서 교종의 중심 사찰로 지정된 것도 월정사가 아닌 상원사였다. 이후 월정사가 상원사를 압도할 정도로 규모를 확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오대산을 방문했던 대다수의 문인들은 오대산 불교의 중심을 상원사나 중대 적멸보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 과정에서 월정사의 역사에 대한 기억의 왜곡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20세기로 접어들면서 월정사가 강원도의 首寺刹로 지정되면서부터 지금과 같이 강원도를 대표하는 사찰로 자리매김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book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of the perception of Woljeong Temple, a temple representing Odae Mountain, and to examine its meaning.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Woljeong Temple from its founding to the late Joseon Dynasty. The website of Woljeong Temple says that it was founded by Jajangyulsa in 12 years (643) with Queen Seondeok of Silla, but after reviewing various records related to the foundation, Jajang visited the site for the first time, but it was through figures such as Sinhyo, Sinsin and Yuyeon that formed a templ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late Goryeo Dynasty when Monk Iil made a large-scale reconstruction of Woljeong Temple.
    Subsequently, the recognition of Woljeong Temple in the Joseon Dynasty wa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ngwon Temple, which is currently the horse temple of Woljeong Temple. Sangwon Temple had a higher status than Woljeong Temple, not only during the Silla Dynasty, but also during the mid-Joseon Dynasty, when it was said that Sangwon Temple was founded. Sangwon Temple was the place where the state-led waterworks were held, and various support at the national level was also led to Sangwon Temple, not Woljeong Temple. Although the scale of Garam was so large that Woljeong Temple overwhelmed Sangwon Temple, the majority of writers who visited Odae Mountain tended to recognize the center of Buddhism as Sangwon Temple or the Great Red Palace. In the process, the memory of Woljeong Temple was distorted. As the temple entered the 20th century, Woljeong Temple was designated as Gangwon-do’s 首寺刹, and it became the representative temple of Gangwon-d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