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조의 君師로서의 자기인식과 리더십 (Self-recognition and Leadership as a Gunsa (君師) of King Jôngjo)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4.12
30P 미리보기
정조의 君師로서의 자기인식과 리더십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114호 / 111 ~ 140페이지
    · 저자명 : 안효성

    초록

    엄격한 자기 관리와 수양공부를 통해 높은 수준의 도덕성과 학문, 정치 능력을 가지고 나라를 다스렸던 정조는, 자신이 중국의 고대 성왕부터 주자까지 이어진 유학의 도통을 이은 ‘군사(君師)’임을 자처하였다. 군사로서의 인식을 확고히 한 정조는 탕평의 원리에 입각해 왕권을 강화하고 뛰어난 리더십으로 위기에 대응하면서 각종 개혁을 수행해 갔다.
    정조는 국가를 운영함에 있어 의견의 다양성을 존중했고, 활발한 토론과 소통을 통한 상호 이해의 증진으로 갈등과 폭력을 완화하여 다원적 덕의 공존을 추구하였다. 또한 정조는 인사탕평 외에 수많은 조치들을 통해 경제개혁, 계층탕평, 지역탕평, 대민탕평, 학문/문화탕평을 고르게 추진하여, 차별과 분쟁, 갈등과 소요 등의 구조적 폭력이 제거된 사회적 조건을 수립하는 방식으로 유교 이상사회인 ‘대동(大同)’을 달성코자 하였다. 정조의 탕평은 ‘준론-의리탕평’인 동시에 ‘대동탕평’의 성격까지를 지닌 사통팔달의 통치술이었다.
    이 논문은 자신을 ‘군사’의 지평에서 관리해 나간 정조의 내적 인식세계, 곧 군사로서의 자기인식을 셀프리더십(self-leadership)의 관점에서 조명하고, 한편으로는 그의 독창적인 통치술이자 철학사상으로 기여했던 ‘탕평’을 평화지향적 리더십(평화 리더십)의 차원에서 조명한다. 특히 탕평의 경우는 현대 평화학의 평화 분류 방식을 적용하여, 소극적 평화(negative peace) 지향의 준론-의리탕평과 적극적 평화(positive peace) 지향의 대동탕평으로 다시 나누어 봄으로써, 정조의 리더십을 한층 더 입체적으로 이해해 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King Jôngjo ruled the country with a high level of moral, academic and political ability through strict self-management and cultivation. He claimed to be a 'Gunsa (君師)' who inherited the lineage of Confucian truth from ancient Chinese saintly kings stemming from Chu Hsi. Jôngjo, who firmly recognized himself as a Gunsa (君師), strengthened the royal authority using the principle of Tangpyeong (蕩平) and carried out various reforms while responding to crisis with excellent leadership.
    Jôngjo respected the diversity of opinions in running the country. He promoted mutual understanding through active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He sought the coexistence of pluralistic virtues by easing conflicts and violence. In addition to Tangpyeong (蕩平) in personnel policy, Jôngjo evenly promoted economic reform, hierarchical Tangpyeong (蕩平), regional Tangpyeong (蕩平), people's Tangpyeong (蕩平), and academic/cultural Tangpyeong (蕩平). Jôngjo tried to achieve 'Daedong (大同)', a Confucian ideal society, by establishing social conditions in which structural violence such as discrimination, trouble, conflict, and disturbance were removed. Jôngjo's Tangpyeong (蕩平) was a technique of governing all thing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Junron (峻論)-Uiri (義理) tangpyeong (蕩平)' and 'Daedong (大同) tangpyeong (蕩平)'.
    First, this paper reveals Jôngjo's inner world of perception, that is, his self-recognition as a Gunsa (君師), from the perspective of self-leadership. Second, this paper describes Tangpyeong (蕩平), his original governance technique and philosophical idea, as peace-oriented leadership (peace leadership). In particular, by applying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peace in modern peace studies, we will look at Junron (峻論)-Uiri (義理) Tangpyong (蕩平), which aims for negative peace, and Daedong (大同) Tangpyong (蕩平), which aims for positive peace. This will allow us to understand Jôngjo's leadership more three-dimension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