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뽕나무 재배정책과 조선인의 대응 (The Mulberry Planting Policy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the Reaction of Korean´s in 1910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3.09
35P 미리보기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뽕나무 재배정책과 조선인의 대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116호 / 127 ~ 161페이지
    · 저자명 : 김란

    초록

    본고는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뽕나무 재배정책에서 발생된 강제 배부의 문제와 조선인의 대응을 분석하였다. 특히 기존연구에서 주목하지 못하였던 1910년대 개량종 뽕나무 재배정책의 원인과 3·1운동 시기 뽕나 무 재배정책에 대한 조선농민의 불만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개량종 뽕 나무 배부 및 재배의 문제점과 조선농민이 3·1운동에 참여하는 다양한 계 기를 밝혔다. 개항 후 조선은 잠업이 단순한 농업이 아니라 제사-견직업으로 연결될수 있는 산업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대한제국은 양잠진흥 정책을 실시하였지만, 1906년 통감부가 설치되면서 양잠진흥정책은 제 대로 시행되지 못하였다. 병합 후 조선총독부는 조선을 일본 내 부족한 식량과 자본주의 발전을 위한 보충지로 개편하는 정책을 시행하였다. 조 선총독부는 일본 개량종 이식 품종으로 미작·면작·잠업·축우를 선정하였 다. 이 중 잠업이 선정된 것은 잠업을 통해 생산되는 고치가 일본의 공업 화를 장기간 지원하는 역할을 하였기 때문이다. 잠업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누에의 먹이인 뽕나무가 확보되어야 했다. 뽕나무는 잠업과 제사업의 가장 기본원료이다. 조선총독부는 잠업을 장려하기 위해 조선농가에 개량종 뽕나무를 배부하여 재배하게 하였다. 조 선총독부는 개량종 뽕나무를 각종 지원금을 통해 조선농촌에 빠르게 배 부하였다. 그 결과 개량종 뽕밭이 증가하였고, 이는 개량종 누에고치 생 산량의 증대로 이어졌다. 그러나 조선총독부는 재래 양잠 지역에도 강압 적으로 개량종 뽕나무를 재배하게 하였고, 재래 뽕나무와 누에고치를 불 태웠다. 개량종 뽕나무는 조선기후에 맞지 않은 경우가 있었고, 재래종에 비해 관리법이 어려워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하였다. 또한 개량종 뽕나무는 조 선농민의 식재 여부와 관계없이 매년 강제 배부되었다. 행정기관은 강제 배부된 개량종 뽕나무에 대금을 청구하여 조선농민들의 불만은 쌓여가 고 있었다.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뽕나무 재배정책에 대한 조선농민의 불만은 3·1운동이 일어나자 표출되었다. 3·1운동 시기 조선농민의 뽕나무에 대 한 불만은 거의 전국적으로 나타났다. 조선농민들은 뽕나무 묘목을 불태 워 군중을 선동하거나 배부된 뽕나무를 면장에 집에 버리는 등 조선총독 부의 뽕나무 배부 정책에 대해 직접적으로 불만을 터트렸다. 이는 1910 년대 뽕나무 배부로 시작한 양잠의 장려 정책이 조선 농촌의 상황을 제대 로 파악하지 않은 채 일본 원료 공급만을 위해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조선총독부는 3·1운동으로 혼란한 시기인 1919년 4월 24일에 ‘조선잠업령’을 내려 뽕나무 생산과 잠종제조의 매매를 감독·단속하였다. 이는 일본 제사 자본이 조선에 진출할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서였다. 한편 1920년대가 되면서 잠업을 장려하는 지역에서는 1910년대와 같이 뽕나 무를 강제 배부하고 대금을 청구하였다. 그러자 조선 농민들은 뽕나무 배 부 및 재배에 대한 부당함을 신문에 기고하거나 군에 고발서를 제출하여 직접적으로 비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oercive distribution problem which took place during the mulberry planting policy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e 1910s and the response by the Joseon people.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cause behind the enforcement of mulberry planting policy in the 1910s and the Joseon farmers' complaints toward the policy during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which had not drawn attention in previous studies. This ident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problems in distributing and planting improved mulberries and a variety of motivations for participating in the movement. After opening to foreign trade, Joseon perceived sericulture not as a mere agricultural industry but an industry which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ilk-reeling and silk goods industry. According to this objective, the Korean Empire implemented the sericulture promotion policy but it was not properly conducted because of policies of the Residency-General established in 1906. After the forced annexation in 1910,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carried out several policies to reform Joseon as a base of food supplies and accumulation of capital for Japanese empire[Japa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esignated crops like rice, cotton, sericulture, and cattle as items to be replaced with improved ones from Japan. Among them, sericulture was selected because cocoons played the role of supporting Japan's industrialization for a long time. Mulberries, which silkworms lived on, had to be secured to implement sericulture. Mulberries are the base material of sericulture and the silk-reeling industr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ordered Joseon farms to cultivate improved mulberrie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wiftly distributed improved breed mulberries to Joseon farms through all sorts of support funds. As a result, improved mulberry fields increased, leading to the increase of improved breed silkworm production.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forced improved mulberry planting on farmers of conventional sericulture, burning indigenous mulberries and silkworms. Improved mulberries were not only unsuitable for the climate of Joseon, but also requiring more hours and labor to manage than conventional ones. Nevertheless, improved mulberries were forcibly distributed every year without consideration for Joseon farmer's mind about the planting. In addition, administrative agencies charged price for the mulberries, aggravating discontents among the Joseon farmers. The Joseon farmers' discontents at the mulberry planting policy was expressed with the beginning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movement, the complaints appeared in almost every region of the country. Joseon farmers directly expressed complaints about the mulberry distribution policy by inciting crowds to burn the mulberries and dump them at the front of house of village head. It meant that the sericulture improvement policy beginning with mulberry distribution in the 1910s was implemented for Japanese raw material supply without proper understanding of Joseon's agricultural situation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ssued 'Choson Silk Raising Farm Law(朝鮮蠶業令)' on 24 April 1919, even during a turbulent time since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superintending mulberry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nd cracking down on illegal trade of silkworm. It was intended to establish the framework for Japanese silk-reeling capital to invade Joseon. After that time, in the 1920s, the authorities only distributed mulberries and charged the price to farmers who live in certain encouraged regions to engage in sericulture. Consequently, it made the farmers take collective actions, such as to announce the injustices of the mulberry distribution in newspapers or to file an complaint with the persons responsible for the 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