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혁주의 선교 개념의 확장: 송영(Doxology)으로서의 선교 -이사야 42:1-9의 “이방의 빛”을 중심으로- (The Concept of Mission in Reformed Perspective: Mission as Doxology - Focused on “A Light to the Nations” in Isaiah 42:1-9 -)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09.04
48P 미리보기
개혁주의 선교 개념의 확장: 송영(Doxology)으로서의 선교 -이사야 42:1-9의 “이방의 빛”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성경과 신학 / 50권 / 249 ~ 296페이지
    · 저자명 : 김은수

    초록

    필자는 구약에서 이스라엘이 감당 했었던 선교적 사명의 구체적인 의미를, 특별히 이사야 42:1-9에 나타난 “종의 노래” 및 관련 성경본문들을 분석함으로써 살펴보았다. 즉, 언약에 기초한 구속사적 선교 이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서, 현재 포스트모더니즘과 종교다원주의 등의 다양하고도 심각한 도전들로 말미암아 “정체성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는 현대 기독교 선교에대하여 성경적 개혁주의 입장에서 선교의 본질을 정의하고 확장해 보려고 시도하였다. 이 연구에 따르면, 선교는 땅 위의 모든 나라, 모든 민족들로 하여금 창조자시요 구속자이신 삼위일체 하나님만이 참된 하나님이심을 깨달아 알게 함이며, 그 본질적인 목적은 그들로 하여금 즐겁고 기쁜 새 노래로 하나님을 찬양하게 함으로써 그를 영화롭게 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성령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이방나라들에 주신 복이며 구원이다. 그러므로 21세기의 기독교 선교학은 창 1:28의 “문화대명령”(cultural mandate)과 마 28:19-20 (cf.행 1:8)의 “선교대명령”(missionary mandate)을 통합하는 새로운 선교 패러다임이 적극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즉, 개혁주의적 영역 주권이론에 따라, 선교의 새로운 전선은 기존의 국경과 민족의 개념에 더하여 정치, 사회,교육, 문화, 철학, 과학기술, 환경, 비즈니스 등 하나님을 알지 못하며 또한 그의 절대주권을 인정하지 아니하고 복음의 진리에 대적하는 “이방 영역들”
    에 더욱 적극적이며 창조적으로 확대되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dealt with the problem of mission especially in the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Recently, many scholars and
    missionaries point out a ‘crisis’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mission and
    an emerging of ‘paradigm shift’ in contemporary missiology. Such
    phenomena were a reflection of rapid cultural changes and world-wide
    globalization which destroys the traditional conceptual frame of mission.
    Considering this situation, I presented a need of conceptual extension for
    Christian mission according to Reformed covenant theology.
    First of all, I has presented that the foundation of Christian mission
    should be extended from the New Testament to the Old Testament(i.e.,
    the whole Scripture). As a matter of fact, the subject matter of mission
    is one of the most disputable problems in the OT theology. Considering
    such a debate, it is my first point in this paper to examine whether there
    is or not an explicit missionary mandate in the text of Isa 42:1-9(cf.
    49:6), the First Servant Song, especially in focusing on the meaning of
    the phrase, “a light to the nations”, and related biblical texts. Therefore,
    we can regard “the Servant Songs of Isaiah 40-55”, especially Isa 42:1-9
    as the missionary “high point” in the OT.
    Secondly, considering the so-called ‘identity crisis’ in the traditionalIn this article, I dealt with the problem of mission especially in the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Recently, many scholars and
    missionaries point out a ‘crisis’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mission and
    an emerging of ‘paradigm shift’ in contemporary missiology. Such
    phenomena were a reflection of rapid cultural changes and world-wide
    globalization which destroys the traditional conceptual frame of mission.
    Considering this situation, I presented a need of conceptual extension for
    Christian mission according to Reformed covenant theology.
    First of all, I has presented that the foundation of Christian mission
    should be extended from the New Testament to the Old Testament(i.e.,
    the whole Scripture). As a matter of fact, the subject matter of mission
    is one of the most disputable problems in the OT theology. Considering
    such a debate, it is my first point in this paper to examine whether there
    is or not an explicit missionary mandate in the text of Isa 42:1-9(cf.
    49:6), the First Servant Song, especially in focusing on the meaning of
    the phrase, “a light to the nations”, and related biblical texts. Therefore,
    we can regard “the Servant Songs of Isaiah 40-55”, especially Isa 42:1-9
    as the missionary “high point” in the OT.
    Secondly, considering the so-called ‘identity crisis’ in the traditionalconcept of Christian mission in this postmodern cultural situation and
    religious pluralism, my second point is to seek a proper concept for
    Christian mission, especially in the position of Evangelical or Reformed
    theological perspective. For the issue, while analyzing the biblical text of
    Isa 42:1-9, we can also clearly find the true foundation and goal of
    Christian mission. The central message of the Bible is that the Triune
    God alone is the true God. However, this true knowledge of God which
    is first revealed only to Israel should be pronounced to the world and
    shared with the nations. This must be accomplished through the
    missionary task of the Servant, which is to bring forth God’s jP'v.mi and
    tr'At to the end of the earth. And next, the ultimate goal of Christian
    mission is ‘the Glory of God.’ Therefore, in its ultimate sense, we can
    say that mission is a kind of “Doxology.”
    Mission is noting other than to make all peoples on the earth know,
    worship, and glorify the true Living God, the Creator and the Savior.
    Even this praise should be extended to the whole world of God’s
    creatures, ‘heaven and earth.’ Finally, according to this study, Christian
    mission is to make know the nations, all the peoples on the earth, that
    there is the one true God, the Creator and the Savior, and then let them
    praise God. This is the very God’s blessing which is given to the nations
    through His servant people’s missionary tas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성경과 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