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아의 빛과 그림자 현상에 대한 지식의 변화 (Changes in young children’s knowledge regarding shadow and light)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09.06
19P 미리보기
유아의 빛과 그림자 현상에 대한 지식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유아교육연구 / 29권 / 3호 / 305 ~ 323페이지
    · 저자명 : 김헤라, 이순형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빛과 그림자 현상에서 ‘물체의 크기와 그림자의 크기’, ‘물체와 광원 간 거리와 그림자의 크기’의 관계에 대한 유아의 사전지식을 조사하고, 실험을 통한 예측, 증거제시, 결과해석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사전지식이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만 4~6세 유아 169명으로 대상으로 일대일 실험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평균, χ2 분석, t-검정, 순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유아의 대부분은 물체의 크기와 그림자의 크기가 비례관계라는 것을 알고 있었고, 조사대상 유아의 약 30%는 물체와 광원 간 거리와 그림자의 크기가 반비례관계라는 것을 알고 있었으며 이는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만 4, 5, 6세 유아의 빛과 그림자 현상에 대한 이해는 연령에 관계없이 유사한 것으로 지각적 특성이 우세하고 유아에게 친숙한 ‘물체의 크기와 그림자의 크기’ 관계에 대한 이해도는 높은 반면, 그렇지 못한 ‘물체와 광원 간 거리와 그림자의 크기’ 관계에 대한 이해도는 높지 않게 나타났다. 둘째, 실험을 통해 증거를 제시한 후 유아의 사후지식은 사전지식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으나 만 6세 유아의 ‘물체와 광원 간 거리와 그림자 크기’에 대한 사후지식은 사전지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사전지식은 쉽게 변화되기 어렵지만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아는 자신의 지식과 제시되는 증거를 조정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연령뿐 아니라 예측과 결과해석이 유아의 사후지식의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특히 ‘물체와 광원 간 거리가 짧을수록 그림자가 크다’는 결과해석과 예측이 사후지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의 사전지식과 일치하지 않는 증거가 지식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빛과 그림자 현상에 대한 유아의 지식과 유아의 사고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이해하는 데 기여하며, 이를 토대로 과학현상에 대한 보다 발달적이고 교육적인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nges in young children's knowledge about light and shadow, specifically the relation of object size to shadow's size and the relation of base length to shadow's size. The subjects, 169 young children ranging from 4 to 6 years of age, were presented with related tasks.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mean, χ2,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 13.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ajority of subjects initially recognized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object size and the shadow size, while only approximately 30% of the subjects recognized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base length and shadow size.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ior knowledge according to age. Thus, children have similar concepts about light and shadow regardless of age and they easily understand the concept of perceptual predominance or familiar phenomena. 2) Though we provided the evidence to subjects by means of actual experimentation, only the 6-year-old children showed an increase in post-test scores. This means that children's prior knowledge is not easily changed, but young children can alter their pre-existent knowledge as they grow when evidence is presented to them. 3) Subjects' age, result interpretation('the shorter the base is, the larger the shadow is') and predictions ('the shorter the base is, the larger the shadow is' and 'the larger the object is, the larger the shadow is') influence their posterior knowledge. The effect of subjects' result interpretations('the shorter the base is, the larger the shadow is') is greatest on posterior knowledge. In conclusion, the process of result interpretations and prediction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knowledge.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s learning processes, specifically, regarding knowledge of light and shadow, and can be used in preschool science education programs and curriculu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아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