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데이빗 헨리 황의 『엠. 버터플라이』: 재현, 제국주의, 탈정치화 (David Henry Hwang's M. Butterfly: Representation, Imperialism and Depoliticizatio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0.02
26P 미리보기
데이빗 헨리 황의 『엠. 버터플라이』: 재현, 제국주의, 탈정치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영미연구 / 48권 / 131 ~ 156페이지
    · 저자명 : 정태진

    초록

    이 연구는 『엠. 버터플라이』를 재현이론 및 글쓰기전략으로서의 패러디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작품이 발표되었던 1980년대는 주요 이론적 개념들인 재현/반재현론들, 탈식민주의, 반성차별주의, 반제국주의 비평이론이 발전하던 비평이론의 전환기였다. 1985년에 발표된 『엠. 버터플라이』는 패러디기법을 통해 원전텍스트인 지오코모 푸치니의 『마다마 버터플라이』의 제국주의와 식민주의, 성차별주의를 해체하고 저항하는 글쓰기/연극이라고 작가 스스로 주장하고, 주류비평계에 의해서 새로운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데이빗 헨리 황의 글쓰기 방식인 ‘패러디’의 한계를 살펴보고, 그 한계들로 인해 연극 자체에서 발생하는 이중적 특권화, 즉 내레이터로서의 주도권 및 극중극의 연출자로서의 주도권이 제국주의의 남성주인공인 갈리마르에게 부여됨으로서 소수자로서의 중국계 인물인 송 릴링의 목소리는 부재하게 되는 모순적 결과를 낳았고, 이러한 현상이 백인 주류관객층의 담론 질서와 정치적 올바름에 부응하며, 저항성은 사라지고 무정치적이고 비역사적이며 낭만화의 왜곡을 낳는 비저항적이고 주류문화계에 순응적인 작품으로 소비되고 재생산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read M. Butterfly in terms of representation and parody. The 1980s saw the advent of critical issues of representation, anti-representation, post-colonialism, post-imperialism, and gender studies. Hwang's M. Butterfly takes advantage of the technique of 'parody' to mimic and criticize the aforementioned critical concepts of colonialism, imperialism, and gender bias in the canonical original text, Giacomo Puccini's Madama Butterfly. In general, Hwang's theatrical intention seems to satisfy the expectations of white mainstream spectators, theatrical scholars and critics. This study, however, goes the opposite way to critically re-evaluate the self-imposed limits of Hwang's writing strategy of 'parody'; the double limits of both privileging of the white male protagonist Rene Gallimard as 'dominant narrator' of the crucial mise-en-scène and granting the quintessential initiative of the ‘director' of the drama within the drama, G. Puccini's Madama Butterfly. As a result, contrary to Hwang's theatrical intention, Chinese character Song Lilling's voice as ethnic minority remains silent or ignored. Hwang's parodic theatrical performance fails to write back the white mainstream's discursive order and as a result the drama is co-opted to the dominant discourse and the political correctness of white mainstream audience.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read Hwang's M. Butterfly as a depoliticized, dehistoricized, and romanticizing play that has no manifest residue of resistance and political praxis to challenge colonialism, imperialism, and gender bi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