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빔 벤더스 영화의 재현적 몽타주연구 : ‘부퍼탈탄츠테아터 단원 인터뷰 미장센’을 중심으로 (A Reproducible Montage Study of Wim Venders Film : Focusing on ‘Tnaztheater Wuppertal Company interview Mise-en-Scène’)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8.12
7P 미리보기
빔 벤더스 영화의 재현적 몽타주연구 : ‘부퍼탈탄츠테아터 단원 인터뷰 미장센’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12권 / 8호 / 115 ~ 121페이지
    · 저자명 : 박혜준

    초록

    빔 벤더스 감독이 영화를 제작하면서 가장 깊게고민하는 핵심적 부분은‘영화적 재현’에 관한 이론적 문제들이다. 그가 쓴 글과 영화들 속에는 영상적 본질의 문제가 뿌리 깊게 스며있는데, 이것들은모두 이미지의 힘, 이야기하기의 한계, 지각(知覺)의변화들에 대한 것이다.
    이야기의 전달에는 한계가 있다. 이야기의 목적은전달이다. 다큐멘터리의 기록 역시 대상의 정보에 관한 전달이다. 이야기전달의 한계는 이야기의 힘이 소진되었을 때 나타난다. 이때는 이야기하기가 아닌 이야기 하지 않기를 통하여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미지만을 통한 전달을의미할 수 있으며 이미지만으로도 충분한 지각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필자는 빔 벤더스 감독의 다큐멘터리영화 <피나> 를 통하여 이야기, 이미지, 지각의 부분들을 재현의관점에서 인터뷰 장면을 분석하여 독자적인 영상의미장센을 논의하였고, 분석된 미장센을 통한 새로운몽타주의 표현방법을 발견하였다.
    빔 벤더스가 <피나>의 인터미장센과 몽타주를 통해 확고히 하고자 했던 점은 형태와 수용조건이다.
    인터뷰 미장센과 몽타주는 무엇보다도 특수한 미적경험으로 환기되었고, 특수한 장소에서 특수한 언어적 양식들에 따라 이루어지는 회상적인 내레타주로의미생산 되었다.

    영어초록

    The most important part of Wim Venders' deepest worry about film production is the theoretical issues of 'cinematic representation'. In his writings and movies, there is a problem of image essence.
    It is about the power of image, limit of story, change of thought. There is a limit to the transmission of stories. The purpose of the story is transmission. The purpose of the documentary is to convey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to be recorded. The limit of narrative communication appears when the power of story is exhausted. In this case, we must overcome the limit without saying. Not telling is the meaning of transmission through images.
    The image alone may show enough thought change. Through the documentary film "Pina" by Wim Wenders, the interview scene was analyzed from the point of view of reproducing the problems of story, image and thought. We found a way to express a new montage through the analyzed mise en scene. Interview with Wim Venders in <Pina> What I wanted to do through the mise en scene and montage is the form and acceptance conditions. Interviews The mise en scene and the montage were evoked by a special aesthetic experience. And it was produced in the form of a recalling narratage that was made in a special place in a specific language sty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