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悔軒 趙觀彬의 한시와 椒林體 (Hoeheon[悔軒] Jo Gwan-bin’s[趙觀彬] hansi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Cholim Style[椒林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7.07
31P 미리보기
悔軒 趙觀彬의 한시와 椒林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55호 / 73 ~ 103페이지
    · 저자명 : 김형술

    초록

    본고는 초림체의 연원으로 지목되었던 회헌 조관빈 한시의 특징을 살피고, 그것을 바탕으로 초림체 한시의 새로운 면모를 추론한 것이다. 조관빈은 신임옥사로 사사된 조태채의 둘째 아들로 영조의 탕평정국에서 부친을 비롯한 노론사대신을 신원하고 노론의 의리를 관철시키기 위해 평생을 당쟁의 중심에 섰던 인물이다. 자신의 의리는 선이고 정의라는 확고한 신념을 지녔던 조관빈은 시를 통해 그가 불의하다고 여긴 당대 정치현실에 대해 누구보다도 과격하게 불평한 심사를 드러내었다. 조관빈의 시가 보인 불평지음의 형상은 초림체의 특징과 관련하여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이규상은 혀가 얼얼하고 눈이 시큼해지며, 허장성세를 피고 공갈협박하는 자극적이고 공격적인 면을 초림체의 특징으로 제시하였는데, 현전하는 서얼 문인들의 작품에서는 이런 면모를 발견할 수 없다. 본고는 이렇게 된 원인으로 초림체 한시가 문집 간행 과정에서 산삭되었을 가능성을 들었다. 이규상의 전언과 현전 시문 사이의 괴리로 인해 그간의 연구는 초림체의 특징을 표현이나 수사상의 특징에서 구하려 하였는데, 심노숭이 전하는 초림체 형성의 계보와 조관빈의 한시는 초림체의 특징을 표현과 수사를 넘어 내용과 주제의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d the features of Jo Gwan-bin’s hansi (Korean poetry), and deduced its relationship with the Cholim style [椒林體] hansi. Jo Gwan-bin was of noble birth and a writ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His father was Jo tae-chae [趙泰采], who was killed for being involved in party strife called Sinim Oksa [辛壬獄事]. He had struggled to redress his father and the political party almost his whole lifetime. Furthermore, he wrote poems about the complaints of unjust political reality and the king. Therefore, his poems have critical and offensive features that were unique to the Joseon Parnassus. The Cholim style [椒林體] hansi was poetry that was written by the Seoeols [庶孼] who were sons of concubines. Lee gyusang [李奎象] commented the features of Cholim style [椒林體] hansi in the following:“If somebody read that poetry, his mouth will be burning and his eyes will have a piercing pain” and “That poetry was bluffing and offensive.” Incidentally, pieces of the Cholim style [椒林體] hansi in the present collection of the Seoeols’ poems were hard to find, which could be attributed to the reason that the poems were left out in the publication process because of the radical nature of these poems. As such, previous studies have only examined the features of the Cholim style from a rhetoric aspect. However, this study examined the Cholim style’s features from a thematic content analysis, based on the genealogy of Cholim style writers, including Jo Gwan-bin, which was commented by the same period writer, Sim nosung [沈魯崇]. The analysis concluded that Cholim style poems had deceiving and offensive cont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