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영화평의 감성 분석 - 좋아요 및 싫어요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Effect of Movie Review Sentiment Analysis on Like and Dislik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3.09
23P 미리보기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영화평의 감성 분석 - 좋아요 및 싫어요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문화연구 / 26권 / 3호 / 117 ~ 139페이지
    · 저자명 : 전호성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에 등록된 영화평을 대상으로 감성 분석을 수행하여 영화평에 나타난 감정이 네티즌들이 이에 대한 자신의 공감대를 표현하는 좋아요나 싫어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영화의 선택은 네티즌들이 갖고 있는 영화 장르의 선호도나 집단의 특성이 갖고 있는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흥행을 기준으로 크게 성공한 영화들을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기준 하에 2018년부터 2019년 사이에 개봉한 상업 영화들 중에서 흥행에 성공했다고 판단되는 7개의 영화를 선정하였고 7개 영화를 기준으로 네이버 영화 포털에 올라온 영화평과 영화 평점을 약 27만 건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수집한 자료를 사용하여 영화평에서 나타난 감정 극성값이 좋아요와 싫어요에 미치는 영향을 첫 번째 연구 문제로 제안하였고 감정 극성값이 영화 평점을 매개로 좋아요와 싫어요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두 번째 연구 문제로 제안하였다.
    사회적 태도로써 좋아요나 싫어요는 네티즌들이 경험한 콘텐츠를 다른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나누고자 하는 개인의 의도를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연구 문제 1은 영화평에서 확인된 호의적인 감정의 극성값이 좋아요와는 긍정적인 관련성을 갖고 있을 것으로 그리고 싫어요와는 부정적인 관련성을 갖고 있을 것으로 제안하였는데 분석 결과 좋아요 보다는 싫어요에서 보다 높은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문제 2는 연구 문제 1에서 감정 극성값이 좋아요로 연결되는 과정이 명확하지 않음에 따라 영화평에 담긴 감정 극성값은 영화 평점과 같은 인지적 정보를 기반으로 좋아요나 싫어요에 간접접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매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종속 변수가 좋아요일 때는 분석의 대상이 되는 대다수의 영화에서 매개 효과를 확인하지 못했으나 종속 변수가 싫어요인 경우에는 분석이 되는 모든 영화에서 영화 평점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좋아요의 개수는 영화평에서 확인되는 감정의 극성값과 큰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가 처음 가정했던 방향과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영화 포털 서비스 맥락에서 많은 마케터들의 생각과는 달리 좋아요의 개수는 온라인 콘텐츠에 담긴 감정적 내용이나 인지적 평가보다는 다른 변수들의 영향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반면 싫어요의 개수는 연구 문제에서 예측한 것과 같이 감정의 극성값이 호의적일수록 출현 빈도가 낮아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영화 평점은 네티즌들이 싫어요 같은 사회적 태도를 형성하는데 있어 매개 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번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영화평에 담긴 감정의 극성값은 네티즌들의 싫어요라는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있어 의미있는 영향을 주고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rough an sentiment analysis of movie reviews presented online,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effect of emotions shown in movie reviews on likes and dislikes, one of the forms in which netizens expressed their sympathy on movie reviews. About 270,000 movie reviews and movie ratings posted on Naver's movie portal were collected for 7 commercially successful films released between 2018 and 2019. Using related literature reviews, research question 1 was to check the effect of emotional scores on like and dislike respectively, and research question 2 was to check the indirect effect of emotional scores through movie ratings.
    Research question 1 confirmed how the polarity of emotions founded at the movie reviews affects like and dislike, which are the sympathy expressed by netizens. In order to control the homogeneity of consumer groups, the successful film group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analysis based on box office success. Research question 1 suggested that positive emotions are highly related to likes and negative emotions are related to dislike. The outcomes of analysis show that only the negative emotions is highly linked to the numbers of dislike posted on movie porta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umber of like as an online word of mouth is likely to not have much to do with the emotional content or cognitive evaluation contained in movie review.
    In addition, research question 2 assumed that the polarity of emotions identified in the movie review would have an indirect effect on like or dislike through the movie rating, and a mediating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is. Contrary to expectations, positive emotion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lik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pendent variable is a dislike factor, th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in all the films analyzed. The negative emotion shown in the movie review was affecting dislike through movie rating, and this indirect effect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the direct effect of emotional scores on dislike. Referr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inferred that the polarity of emotions based on the movie review works asymmetrically to form like and dislik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