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한 공간의 의미 표출에 관한 연구 - 교량 자살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Spatial Meaning Through Text Mining Analysis - Focusing on Big Data about Suicide on the Bridge -)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1.12
10P 미리보기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한 공간의 의미 표출에 관한 연구 - 교량 자살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8호 / 181 ~ 190페이지
    · 저자명 : 박변갑, 박성룡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 인식 과정에서 표출된 언어를 통해 공간에서 일어난 사건과 언어의 관계 맺음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자는 이를 위한 실증연구 대상으로 ‘교량’이라는 공공공간에서 일어나는 자살사건에 주목했다. 한국의 높은 자살률은 오래된 사회 문제 중 하나이다. 그간의 자살 관련 연구는 개인의 사적 공간이나 심리적 요인에 관한 것에 집중되어 있고, 공공공간을 대상으로 한 자살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살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교량을 대상으로, 이에 대해 언급된 온라인 상의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고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한 까닭은 공간에서 일어나는 사건이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공공장소 자살에 대처하는 공공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문헌조사를 통해 전통적 공간의 개념과 공간을 규정하는 속성으로서의 사건 개념을 고찰한다. 이어 사건과 언어의 관계를 살핀다. 공공장소에서의 자살 현황을 소개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포털플랫폼 네이버와 다음의 블로그, 뉴스, 카페, 지식인의 비정형데이터를 수집하고 정제하여 텍스트마이닝 실시한다. 빅데이터 분석프로그램 텍스톰(Textom)과 유씨넷(Ucinet)을 활용하여 키워드 빈도분석, TF-IDF, 네트워크분석,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시각화한다. (결과) 빈도 분석 결과 상위 100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빈도 분석에서는 교량, 자살, 설치, 안전 등 자살 예방 관련 키워드가 빈출 단어로 나타났다, TF-IDF분석 결과에서는 한강교량, 투신자살, 극단 등의 키워드가 순위 상승하여 사건 자체에 대한 인식이 비중 있게 다루어진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설치에 관련된 키워드는 빈도 분석과 TF-IDF 분석 모두에서 높은 빈도수를 보여 공간에 무엇인가를 ‘설치’하는 사건이 발생했을 때 주요하게 언급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군집분석에서 나타난 8개의 그룹은 물리적, 인적, 시점적 요인으로 분류 가능했으나 인식적 요인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공공장소에서의 자살 사건은 한가지 원인이나 방법으로 이해하거나 해결할 수 없는 복잡성을 가진다. 본 연구 결과 교량에서의 자살에 관한 우리 사회 일반에서 다루어지는 인식은 자살 예방 구조물의 설치, 상담전화 운영, 구조 활동 등에 집중되어 있으며 인식 변화를 위한 문화적 시도는 미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공간의 인식 전환을 위해 경험되어져야 할 사건은 단편적 시설물 설치나 구조활동에서 더욱 확장되어야 하며, 특정한 공공공간이 가진 부정적 이미지나 인식을 개선 시키기 위해 문화적 차원에서 공간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vents in public spaces and perceptions of space through big data analysis. As the subject of empirical research for this purpose, the author focused on suicide cases occurring in a public space, termed a “bridge.” The high suicide rate in Korea is one of the oldest social problems. Suicide-related research so far has been focused on individuals' private spaces or psychological factors, and suicide research targeting public spaces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text data on the Han River, a location where suicides frequently occur, were collected, and text mining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ason for doing so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ublic design to cope with suicide in public places in the future by examining how events taking place in space are recognized. (Metho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concepts of traditional space and event as attributes that define space were consid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events and language was explored, and the current status of suicide in public places was introduced. For empirical analysis, text mining was conducted by collecting and refining unstructured data from Naver and Daum blogs, news, cafes, and intellectuals. Keyword frequency analysis, TF-IDF, network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all performed and visualized using the big data analysis programs Textom and Ucinet. (Results) Keywords related to suicide prevention (e.g., bridge, suicide, installation, safety) appeared frequently. As a result of the TF-IDF analysis, keywords such as Han River Bridge, jumping suicide, and extremes rose in ranking. In other words, the perception of the event itself was treated with great importance. Installation-related keywords showed a high frequency in both the frequency analysis and TF-IDF analysis, confirming that they were mainly mentioned when an incident of installing something in a space occurred. The eight groups shown in the cluster analysis could be classified into physical, human, and temporal factors; however, the cognitive factors were insufficient. (Conclusions) Suicide in public places is complex and cannot be understood or resolved using a single cause or method. Awareness of suicide on bridges was concentrated on the installation of suicide prevention structures, operation of a helpline, and rescue activities, and cultural attempts to change perceptions were found to be insignificant. To change the perception of space in the future, events occurring in space should be further expanded in facility installation or rescue activities, and spatial design should be carried out at a cultural level to improve the negative image or the public space percep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