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흥행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효과에 관한 연구: <명량>의 오피니언 마이닝 처리과정 중심으로 (Big Data's Effect on its Practical Use for Box-office Success of Films : Focus on the Process of Management of Opinion Mining on )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5.06
10P 미리보기
영화흥행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효과에 관한 연구: &lt;명량&gt;의 오피니언 마이닝 처리과정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9권 / 2호 / 81 ~ 90페이지
    · 저자명 : 김진욱

    초록

    본 연구는 영화흥행 예측을 위한 마케팅을 빅데이터 활용에서 시작한다.
    영화마케팅에서 SNS의 강력한 플랫폼을 활용하여 영화에 대한 수용자의 태도와 성향을 파악하는 것은 영화 개봉 전 관객들을 끌어오는 데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영화는 감성적 소비재로써 객관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주관적인 구전 정보들이 관객들에게 주는 신뢰감이 더 크기 때문에 데이터의 수집 및 분류작업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2014년 여름에 엄청난 흥행기록을 세운 영화 <명량>을 빅데이터 처리과정인 오피니언마이닝을 통해, SNS에서 평가한 개개인의 영화에 대한 데이터정보를 분류작업 한다면 다수의 영화소비자들의 영화에 대한 기대와 만족도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영화마케팅에 대한 연구들은 제작사나 배급사의 입장에서 과거의 성공사례를 이용하여 흥행요인을 찾고자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영화는 예술성과 더불어 첨단기술과 테크놀로지 융합에 의해 만들어진 종합예술이므로 관객들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화를 선택하며 영화흥행은 몇 개의 요소로 결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화선택의 높은 예측을 하는 관객의 관람 전 후, SNS 이용자들의 심리요인들을 분석한다. 이렇게 지각된 정보요인들을 데이터화하여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영화마케팅 전략을 도출한다.
    분석결과, 영화마케팅에 있어 빅데이터 분석은 영화흥행을 예측하는데 기존의 마케팅 분석보다 가장 적은 ±6% 이하의 오차범위를 이끌어 냈다.
    이러한 결과는 궁극적으로 영화제작사와 영화마케터들에게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고, 무엇보다도 빅데이터 분석은 동시대에 개봉한 영화들의 마케팅 전략 포인트와 차기 영화에 중요한 준거자료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starts big data analysis for box-office prediction of film marketing.
    In film marketing, Utilizing the powerful platform, SNS, identifying the attitude and preference of consumers on the film is the information needed for marketing in attracting audiences prior to releasing the films. Film is a sensational consumer good that subject mouth information as well as objective information provide much of reliability to audiences. Therefore, it is inevitable to collect and classify the data. Theoretical background, one can predict how successful a film will be.
    Also, we can find out about the opinion mining and the open source of the films through the NoSQL software system, analysis the <Roaring Currents> 2014. Through this analysis, information about personal preference on the film evaluated in SNS, in other words; mouth communication of films is to be organized as data and classified properly to identify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of consumers on the film in detail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film marketing used success cases in the past in the perspective of manufacturers or distributors in order to find the factors for the box office hit. However, films are relevant to the comprehensive art comprised of advanced technology and convergence along with artistic features. Therefore, audiences select with several factors, and the box office hit of a film is not determined by only a few elements.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NS after watching the film through satisfaction and also analyze psychological factors of SNS users by regarding the expectation of SNS communication before audiences with high anticipation on film selection watched the film as a previous study. Utilizing information elements perceived hereof, it is intended to suggest for film marketing strategies by using big data.
    As for results of the analysis, big data analysis on the film marketing has derived the smallest error range (±6%) to existing marketing analysis in expecting the box office hit. This not only serves as a standard data for marketing strategies point for films being released at the similar period but also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the next fil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