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빅데이터 기반 텍스톰 분석을 활용한 디자인 씽킹 동향분석 (Design thinking trend analysis using big data-based textom analysis)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2.10
17P 미리보기
빅데이터 기반 텍스톰 분석을 활용한 디자인 씽킹 동향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2권 / 20호 / 265 ~ 281페이지
    · 저자명 : 유선주, 김정민

    초록

    목적 한국의 디자인씽킹 연구 동향을 조사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이후 발간된 디자인씽킹 관련 총 337건의 논문 바탕으로 연도별, 학술지별 현황 및 연구방법에 따라 연구동향을 살펴보았으며, 빅데이터 분석 프로그램 텍스톰과 Ucinet6 넷드로(NetDraw) 기능을 통해 키워드와 관련된 단어들 사이의 네트워크를시각화 및 단어의 유사군집을 도출하기 위해 CONCOR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디자인씽킹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것은 2010년 중반부터이며, 이때부터 관련 연구물들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80종에 이르는 학술지에 게재되었으나 주요하게 7종의 학술지에 10편이상의 관련 연구들이 수록되었다. 337편이 연구중양적연구가 80.7%로 가장 두드러졌으며, 다음으로는 이론연구(11.8%), 혼합연구(3.85%), 질적연구(2.67%) 순이었다. 둘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가장 많이 사용된 핵심어는 ‘창의성’, ‘융합’, ‘문제해결’, ‘과정’, ‘교육’, ‘학습’ 등이었다. Ucinet6 넷드로(NetDraw)을 통한 클러스터에서는 디자인씽킹을 지칭하는 정의 키워드가 주요집단이었고, 학제간 융합의 필요성과 당위성 영역이 주변 집단으로 집결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결론 창의성과 융합, 문제해결의 측면에서 디자인씽킹이 강조되고 있으며, 광의적 측면의 디자인씽킹에 대한 정의는 존재하지만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실행방법이 상이하다. 따라서 이를 표준화하려는 시도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sign thinking research trends in Korea and suggest future re search direc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a total of 337 papers related to design thinking published since 2000 were collected.
    Methods Based on the collected research papers, research trends were examined by year and journal status and research methods, and networks between keyword-related words were analyzed through Big Data analysis program Textom and Ucinet6 NetDraw functions. visualized. In addition, CONCOR analysis was performed to derive similar clusters of derived words.
    Result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esign thinking research began in earnest in mid-2010, and the number of related studies has increased rapidly since then. became Among the 337 studies,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prominent with 80.7%, followed by theoretical research (11.8%), mixed research (3.85%), and qualitative research (2.67%). Second,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most used key words were ‘creativity’, ‘convergence’, ‘problem solving’, ‘process’, ‘education’, and ‘learning’. In the cluster through Ucinet6 NetDraw, the defining keyword that refers to design thinking was the main group, and the need for interdiscipli nary convergence and justification areas were gathered into the surrounding group.
    Conclusions The implication of this is that, although related studies are published every year, most studies are still microscopic and one-off program types are the main focus, so from a long-term perspective,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is inevitable, and methodological reliability is required. As can be seen from the textom analysis, design thinking is emphasized in terms of creativity, convergence, and problem solving, and although there is a definition of design thinking in a broad sense, it is standardized in that the implementation method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searcher's point of view. Attempts and follow-up studies are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