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공지능 시대 빅 히스토리의 ‘인문학적 전환’ (“Humanistic Turn” of Big History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g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9.04
26P 미리보기
인공지능 시대 빅 히스토리의 ‘인문학적 전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간.환경.미래 / 22호 / 61 ~ 86페이지
    · 저자명 : 김기봉

    초록

    근대 역사학은 과학의 한 분과로 정립될 목적으로 연구 범위를 문자 사료가 남아 있는 과거로 한정했다. 그러다 보니 역사학이 연구하는 과거의 범위는 5,000년을 넘지 못한다. 이에 반해 과학은 호모 사피엔스의 탄생은 물론 빅뱅으로까지 소급해서 과거에 대한 지식을 확장했다. 역사학이 축소지향형으로 연구의 대상을 좁혔던 반면, 과학은 확대지향형으로 연구 범위를 확장했다. 이런 역설을 극복하기 위해 과학의 지식을 기반으로 인류의 과거를 가장 큰 범위로 넓혀서 역사를 탐구할 목적으로 등장한 것이 빅 히스토리다.
    빅 히스토리는 인문학과 과학의 ‘두 문화’를 통합하는 윌슨이 말하는 ‘통섭’을 대표한다. 하지만 데이비드 크리스천이 창시한 모든 것의 기원을 탐구하는 빅 히스토리는 ‘인간 없는 역사’로 서술되기 때문에 재미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인문학적인 성찰이 빈곤하다. 이런 기원론적 빅 히스토리의 한계를 극복하게 해 주는 대안적 모델이 유발 하라리가 썼던 종말론적 빅 히스토리다.
    인공지능 시대 인류는 새로운 임계국면에 직면해 있다. 이런 인류 역사의 전환점에서 두 유형의 빅 히스토리를 종합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교양으로서 빅 히스토리와 ‘초역사’로서 빅 히스토리를 제안한다.

    영어초록

    Modern historical science has limited the research scope to the past in which the literal records are available, in order to establish itself as a branch of science. So, the scope of history research is not more than 5,000 years. Science, on the contrary, has expanded its scope of knowledge beyond the birth of Homo sapiens to the Big Bang. While history has narrowed the scope of research with a reduction-oriented approach, science has followed a expansion-oriented approach. In order to overcome this paradox, the big History has aimed to explore history by expanding the past of mankind to the greatest extent based on the knowledge of science.
    Big History represents Wilson's “consilience” that integrates the "two cultures" of humanities and science. But the big History of David Christian, which focuses on the origins of everything is described as "a history without human beings." It is not fun to read his big history, furthermore, its humanistic reflection is poor. The eschatological big story written by Yuval Harari could serve as an alternative model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is origin-oriented big history.
    In the age of AI, mankind stands at the crossroads of “to be or not to be”. At this critical stage, we need a new model that can synthesize two types of big histories. This paper suggests a big history as general education and a big history as ‘trans-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간.환경.미래”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