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연구에서 빅데이터의 효용과 의미 (Cultural Research and Big Dat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6.06
23P 미리보기
문화연구에서 빅데이터의 효용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콘텐츠 / 41호 / 193 ~ 215페이지
    · 저자명 : 김기홍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조명을 받고 있는 빅데이터 기술의 문화연구 방법론으로의 적용에대한 이론적 탐색이다. 특히 디지털인문학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함께 빅데이터적용의 실제 가능성 발굴은 문화콘텐츠 연구에 중요한 과업으로 떠올랐다. 아직은가능성으로만 존재하지만, 빅데이터는 문화연구의 빅 퀘스천이라 할 수 있는 ‘집단의식’에 대한 해명의 단초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개인들의 의식이 개인들의 재현의 토대가 되듯, 사회 혹은 문화로서의 집단적 재현의 토대를 이루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집단의식의 해명은 중요한 과제다. 그러나 사회와 집단의 총체적 상관관계를 총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하는 문화연구 기획은 검증불가능성의 덫에 걸리게 된다. 이를 풀기위해 오랫동안 방법론적 노력이 경주되어 왔다.
    통계적 접근은 이런 방법론적 빈약을 극복하며 집단의식에 대한 연구의 지배적방법론으로 떠올랐으나, 방법론적 한계, 특히 표본추출연구의 본연적 한계로 인해근본적 한계를 노정해 왔다. 최근 부상한 빅데이터는 통계적 방법의 많은 약점들을보완하거나 완전히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대규모 소셜미디어텍스트의 수집과 분석을 통한 집단의식에의 접근 가능성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특히 인과성에서 상관성으로의 인식론적 전환이라는 큰 주제와 연계되어 있다. 본연구는 통계적 방법론과 빅데이터 방법론의 성격 비교를 통해 이 문제에 접근했으며, 관련된 빅데이터 연구사례 검토를 통해 문화연구에의 빅데이터 활용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논했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e article is to prove the possibilities of Big Data, that is emerged as a cutting edge technology as ‘game changer’, as an useful methodological framework of the various cultural research. Especially, the classical themes of the culture studies such as ‘collective conscious’, which can be referred as the ‘big question’ of whole culture related studies is expected to be a beneficiary of this approach, since Big Data provide massive data analysis of human activities, which may be a representative of real and living society as a collective entities as a whole.
    Before Big Data, the major method of this theme was statistical one, namely quantitative approach, which was good at transforming the realities into the structural data that could be calculated, treated with various methods such as regression. The sampling method, regarded as the key to conduct this approach, is revealed to be the limited and unsuitable one to explain causation of the cultural phenomena, since its basic orientation is ‘operational definition’, ‘randomness’, ‘reduction of dimension’ and ‘collapsibilities’ which is replaced by the Big Data’s feature of ‘exhaustivity’.
    The possibility of the Big Data to be a meaningful methodology for cultural research, in this regard, seems to be very much highly likely. However, it is crucial that the method should be confined as a tool to serve the Humanities research, not a devouring computational machine to create the methodological fetis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콘텐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