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각 디자인에서 비인지적 정보처리와 문화적 원형의 문제 (Non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and Cultural Archetype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1.05
10P 미리보기
시각 디자인에서 비인지적 정보처리와 문화적 원형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24권 / 2호 / 309 ~ 318페이지
    · 저자명 : 지상현

    초록

    비인지적 정보처리에 토대를 둔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대한 관심이 관련 사계에서 커지고 있다. 비인지적 정보처리는 대중의 심리적 방어기제를 작동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 문화적 원형에 대한 미국, 일본의 광고, 마케팅학계의 관심이 커지는 것도 같은 이유 때문이다. 문화적 원형의 지각 및 인지에 비인지적 정보처리기제가 관여한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정밀계측기기 업체인 앤리츠의 광고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적 원형의 작동기제를 비인지적 정보처리의 맥락 속에서 이론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1장에서 앤리츠 광고와 그 광고효과를 소개했다. 앤리츠 광고는 문화적 원형을 이용했으며 기존의 인지 이론으로는 설명하기 힘든 높은 주목률과 공감적 효과를 거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장에서는 문화적 원형이 집단의 오랜 경험이 누적되어 형성된 일종의 전형성이며 심리적 욕구와 동질이형의 관계에 있다는 것을 논증했다. 3장에서는 문화적 원형의 지각 및 인지와 관련된 심리적 기제들, 예컨대 반복노출, 착각적 상관, 대뇌기저핵의 특성들과 작동방식이 문화적 원형의 지각에 관여되어 있을 것이라는 추정을 논증했다.
    4장에서는 문화적 원형이 위계와 집단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다는 점을 논증하고 작은 집단의 원형을 문화적 코드로 규정하는 과정을 보이고자 했다. 아울러 문화적 코드가 중요한 디자인의 소스로 활용될 가능성을 살펴 보았다. 5장에서는 문화적 원형이 결국에는 “비인지적 내적 상태‘ , 즉 감성으로 수렴되어 새로운 디자인 방법론의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 점을 논의했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문화적 원형이 그 자체로 디자인의 새로운 표현 소스가 될 수 있으며 더불어 인간 친화적인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유용할 것이라는 점, 비인지적 정보처리의 한 유형이라는 점을 주장하고 문화적 원형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으로 정신분석학과 에스노그래피를 결합한 디자인 개발방법을 제안했다.

    영어초록

    Communication methods based on non-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are receiving more interests in the relevant community because the method does not stimulate the public to use their psychological defense mechanism. The same goes for the increasing attention that is paid recently to cultural archetype by advertising and marketing fields of the U.S and Japan. This indicates that they affiliate non-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mechanism with the perception and cognition of the cultural archetype.
    This research theoretically studied the operation mechanism of cultural archetype in non-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context, concentrating on the advertisement of Anritz, a Japanese precision gauge maker. In the first chapter, Anritz advertisement and its effect are introduced. Anritz advertisement is known for attracting great attention and sympathy by using cultural archetype, which cannot be explained with the established cognition theory. In chapter two, it is demonstrated that cultural archetype is a typicality type of an image formed through collective subconsciousness, which is in an allotropic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desire. The hypothesis that features and operation of psychological mechanism related to cultural archetype cognition and perception such as repetitive exposure, illusory correlation, and basal ganglion may be connected to cultural archetype cognition is proved in chapter three. In addition, in the fourth chapter, it is proved that cultural archetype varies depending on hierarchy and community size and regulated small cultural archetype as cultural code, which was studied for its potential to be used as a significant design source. In chapter five, whether cultural archetype will eventually converge on non-cognitive inner state, namely emotion and sensibility, and contribute to a new design method development is discussed. Lastly, in chapter six, cultural archetype is demonstrated as a new potential design source, useful human-centered design development method and one non-cognitive information-processing type. Also it is suggested as a design development method combined with psychoanalysis and ethnogra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