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푸코의 '자기 배려'에 관한 모색 - 바틀비를 중심으로 (A Study on Foucault’s ‘Care of the self’ - Focused on Bartleb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22.06
24P 미리보기
푸코의 '자기 배려'에 관한 모색 - 바틀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104호 / 163 ~ 186페이지
    · 저자명 : 김영희

    초록

    본 논의는 만약 누군가가 허먼 멜빌(Herman Melville,1819~1891)의 소설에 나오는 바틀비가 된다면, ‘바틀비’가 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지, 그리고 마찬가지의 상황에서 기꺼이 바틀비의 선택을 따를 것인지에 대한 물음에서 비롯되었다. 이 물음의 해답을 찾기 위해, 논문의 내용은 두 부분으로 전개된다. 첫 번째 부분은 근대적 통치성의 변화를 고찰하고 신자유주의 통치성의 주체인 호모 에코노미쿠스에 관해 정리하는 것이다. 두 번째 부분은 예속화의 과정에 순응하지 않는 주체, 자기 배려 주체의 가능성을 바틀비를 통해 검토하는 것이다.
    통치성이 국가의 존재이유로 등장한 것은 16세기 중엽 이후의 일이며, 18세기에 이르러 근대적 통치성이 형성된다. 자유는 근대적 통치성의 중요한 통치술이다. 자유주의 통치성은 자유를 유지하기 위해 오히려 그것과 대립적인 통제와 개입을 인정한다. 자유주의의 전통의 뒤를 잇는 신자유주의 통치성도 마찬가지로 시장을 위한 조절을 수용한다. 신자유주의의 호모 에코노미쿠스는 조절과 경쟁을 시장의 본질이자 원리로 받아들인 주체이다. 호모 에코노미쿠스는 경제적 이성에 따르는 충실한 인적 자본이자 자기 자신의 경영 주체이다. 호모 에코노미쿠스가 신자유주의 통치성에 순응하는 예속적 주체라면, 바틀비는 탈예속적 주체이다. 호모 에코노미쿠스의 삶이 저항으로서의 삶이기 위해서는 예속화된 주체로서의 삶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주체가 되어야 한다. 바틀비의 삶에 주목한 것은 바로 이런 이유에서이다. 바틀비는 단순히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을 수용하거나 거부하는 선택을 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사회에 할당된 어떤 역할도 주어지지 않는 추방자, 아웃사이더로서의 삶을 스스로 택한다. 그는 ‘자기 자신에로 돌아가기’라는 삶의 전향을 통해, 새로운 주체가 된다. 따라서 바틀비는 전향을 통해 자기 부정의 삶이 아니라 자신을 자유롭게 하는 삶을 선택함으로써, ‘자기 배려’의 주체가 된다.

    영어초록

    Suppose that one of these 'anonymous' is Bartleby in the novel by Herman Melville. Would you be willing to be Bartleby? If so, what does it mean to be 'Bartleby'? To answer this question, the direction of the discussion develops into two parts. In the first part, I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liberal and neoliberal governance, and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Homo Economicus’ as a subject subordinated under the present governmentality. In the second part, I examine the possibility of ‘subjectivation’ is to be explored through Bartleby who does not conform to the process of enslavement, a subject that takes care of himself.
    It is only after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that governmentality appeared as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a state, and ‘modern governmentality’ appeared in the 18th century. Modern governmentality is an economic reason, and Freedom is the art of government. Liberalism presupposes non-freedom. In order to preserve freedom, Liberalism introduced to control and management as opposed to freedom. Neoliberal governance intervenes in the market to achieve market freedom. The purpose of neoliberal government is to regulate and govern society for the sake of the market. ‘Homo Economicus’ accepts competition as a principle of the market. He is human capital following economic reasons and his own entrepreneur managing himself. If ‘Homo Economicus’ is a subject subordinated to the neoliberal government, then Bartleby is a ‘subjectivation’. For the life of ‘Homo Economicus’ to become resistant, it must become a new subject. He must get out of life as a subordinate subject. ‘Homo Economicus’ is not a subject of rejection, so we should pay attention to Bartleby's rejection. Bartleby does not simply refuse actions or self. He refuses to be ‘Homo Economicus’ and to turn to himself. Bartleby denies the role given to him through refusal and becomes an outsider. Bartleby's choice is not a denial of the self, but a choice to set oneself free and self-care as a conversion to the self. The concept of conversion is important because Bartleby becomes the subject of self-care through conversion. Bartleby becomes a maker of his new life through conver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