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카쉬미르 샤이비즘의 우파야(upāya)론 연구 (The Study on the Upāya Theory of Kashimir Śaiv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5.06
28P 미리보기
카쉬미르 샤이비즘의 우파야(upāya)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아시아연구 / 21권 / 1호 / 117 ~ 144페이지
    · 저자명 : 심준보

    초록

    본 연구는 딕샤, 샥티파타, 4종우파야의 개념과 그들의 관계를 해설하면서 카쉬미르 샤이비즘 수행론의 대요를 제시하였다. 특히 4종우파야 중의 하나인 아나보파야에 속하는 드흐야나와 우차라 수행법을 아비나바굽타의 『탄트라의 정수』 5장의 내용을 중심으로 해설하였다. 또 본 연구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국내 학계에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은 카쉬미르 샤이비즘의 개요를 약술하였다.
    연구내용을 약술한다면 딕샤는 쉬바파 탄트라에 입문하는 의례이며, 이 입문식을 통해 입문자는 샥티파타를 얻게 된다. 샥티파타는 나의 진아가 쉬바라는 비이원성의 체험이다. 그러나 샥티파타는 9종의 층차가 있고, 발생한 샥티파타의 강도에 따라 수행자는 각기 다른 형태의 수행을 하게 된다. 이것이 4종우파야이다. 먼저 비이원성의 체험을 확실히 한 수행자는 아누파야나 삼브하보파야를 수행하고, 비이원성을 체험하지는 못했지만 자신의 진아가 쉬바인 것을 확신하게 된 수행자는 샥토우파야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아직도 속세에 끌리는 수행자는 아나보파야를 수행해야 한다. 그러므로 일반인들에게 가장 보편적인 수행은 아나보파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아나보파야에서 특히 드흐야나와 우차라, 2종의 수행법을 논구했는데 연구에 따르면 두 수행은 카쉬미르 샤이비즘의 형이상학을 근간으로 탄트라의 신비생리학적인 측면을 이용하여 쿤달리니를 각성시키는 수행법이었다. 그런데 이 수행법들에서 나타난 쿤달리니는 하타요가의 쿤달리니와는 다른 점을 보여주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요가의 원류는 하타요가이며 하타요가는 카쉬미르 샤이비즘, 내지는 탄트라의 전통에서 나타난 것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연구는 현대요가와 하타요가 수행의 원형을 확인하여 그들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esents the outline of practice theory of Kashmir Śaivism, explaining the conceptions of dīkṣā, śaktipāta, and 4 upāyas. This study explains especially dhyāna, uccāra of āṇavopāya focusing on the contents of chapter 5 of the Tantrasāra written by Abhinavagupta, and sketches the outline of Kashimir Śaivism that has been little known to domestic academic circle up till now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theses more easily.
    According to this study, dīkṣā is an initiation rite for entering Śaiva Tantra through which a novice could receive Śaktipāta. Śaktipāta is the experience of non-duality that Śiva is our real self. There are in all 9 levels in Śaktipāta, and depending on the respective intensity of Śaktipāta, he/she is to take different form of practice. There are also 4 levels of practice which are called 4 upāyas in Kashmir Śaivism. Anupāya and śāmbhavopāya are the practices for people who have experienced non-duality, whereas śāktopāya is one for people who don't have the experience of non-duality as yet, but have a strong belief that his/her real self is Śiva. But people who having little belief that Śiva is real self, still pursues this-worldliness should take the practices of āṇavopāya. For this reason we can say that suitable form of practice for ordinary people who live in this world nowadays must be āṇavopāya.
    Among the āṇavopāya practices this study focuses especially on dhyāna and uccāra. These two practices are to raise kuṇḍalinī using the mystic physiological aspect of Tantra based on the metaphysics of Kashmir Śaivism. Here we can also notice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explanation of kuṇḍalinī between two practices of āṇavopāya and haṭhayoga.
    Since as the origin of modern yoga haṭhayoga is derived from Kashimir Śaivism or Tantra tradition, we expect this study to be helpful in tracing back the original form of haṭhayoga which has been hidden in the forms of practice of Kashimir Śaivism and in understanding their essences.
    Finally, though the two traditions of Buddhism and Śaivism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e think that a comparative study of the two religions may still have some meaning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m, because the two traditions are equally non-dualistic, and show significant common aspect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아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