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매매의 비범죄화를 위한 규범적 고찰 (A Normative Study for the Decriminalization of the Prostituti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6.03
35P 미리보기
성매매의 비범죄화를 위한 규범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민주법학 / 60호 / 273 ~ 307페이지
    · 저자명 : 박지현

    초록

    최근 국제앰네스티가 성매매의 비범죄화를 결의를 한데 반해 한국 ‘여성단체연합’은 그에 정면 반대하며 구매자처벌 입법을 촉구했다. 그러한 배경에서 이 글은 성매매 관여자를 원칙적으로 처벌하는 현행 성매매처벌법과, 구매자 처벌방안(즉 판매자만의 비범죄화 방안)과, 판매/구매행위를 포함, 동의에 의한 단순 성매매의 비범죄화 방안 모두를 검토하며 기본권적 요구 또는 헌법합치적 대안을 논하려는 것이다.
    성매매와 관련하여 먼저 성적 자기결정권, 사생활의 자유, 직업의 자유, 노동권 등 기본권과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행위의 동기나 방식에 매매(상업)가 개입되어 있다고 하여도 행위 자체가 사생활 영역이면 사생활의 자유의 보호를 받는다고 보았다. 동기의 규제는 행위 자체의 규제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이다. 성매매는 성적 자기결정권의 행사이며, 인간의 존엄을 그의 의사에 반할 때조차도 보호하려는 것은 자기결정권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성매매의 ‘구조적으로 제약된 자발성’을 이유로 개별 판매자의 자유 능력, 의사 능력을 부정하려는 방법은 서로 차원이 다른 것을 혼동한 것임을 밝혔다. 성매매는 가사노동이 노동인 것과 마찬가지로 노동이며 이를 노동이 아닌 다른 것으로 취급할 이유는 없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제한의 정당성의 검토로서 우선, ‘인격의 자율성’ 목적은 앞서 말한 자기결정권 보호이념에 반하는 목적이어서 성매매 처벌의 정당한 목적이 될 수 없다고 했다. ‘기형화된 산업구조의 정상화’ 목적은 수단의 적절성이 없다고 했다. ‘여성전체의 평등’ 목적에 대해서는 성매매의 처벌이(구매자 처벌이든 쌍방 처벌이든 간에) 수단의 적절성이 없다고 했다. 성매매를 성불평등의 원인으로 간주하는 지나친 단순화의 오류 및 성매매여성에 대한 2차피해 때문이다. 성매매의 형사 처벌은 피해의 최소성 및 법익 균형성 기준도 충족시키지 못한다고 했다. 성매매 처벌이 주는 불이익 중 생계와 신체적 위험은 수인가능한 수준을 넘어선다. 구매자 처벌 방식도 궁극적으로 판매자의 수인불가능한 불이익으로 귀결된다. 단순성매매 관여행위에 대한 처벌도 마찬가지이다.
    결국 성매매의 처벌은 과잉금지 위반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단순 성매매(및 그 관여행위)의 비범죄화만이 헌법합치적이라는 결론이다.

    영어초록

    Amnesty International recently put forth a proposal to recognize prostitution as a human right; in direct contrast, the Korean Women's Association United advocates the Nordic model of punishing the buyer. This thesis deals with three different models of legal treatment of consented prostitution: the current, rigid model of punishing both the buyer and the seller; the 'Nordic Model' (punishing only the purchaser); and general decriminalization. Methodically, this paper is normative, focusing on constitutional rights related to the punishment of prostitution and evaluating the justifications for it.
    I examine the rights of sexual self-determination, privacy, and right to work. I argue that the right of privacy must be protected even when the private act contains a commercial motive, since regulation on the motive inevitably leads to control of the private act. A consented prostitution is an exercise of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so unwanted protection could not be properly deemed as the ‘right to human dignity.’ It is true that the consent of the prostituting woman must be viewed in light of the unequal bargaining power; but I propose that this should not be a basis upon which to deny her freedom of will. And prostitution is work as much as household chores are labor which should be protected by the right of job and that of labor..
    Discussing the justifiability of criminal punishment, I first argue that the claimed reason of protecting the ‘autonomy of human dignity' cannot be supported since it ignores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Secondly, if the purpose is the ‘normalization of the abnormal industrial structure,’ criminalization as a method is inadequate; same conclusion applies to the stated goal of ‘equality for all women.’ The harm caused by criminalization to the women is unreasonable in light of marginal benefits, and legal sanctions are far from necessary. The ‘Nordic Model’ fails for similar reasons. Thus, the only justifiable treatment of consented prostitution, in accordance with constitutional principles, is full decriminalization of prostitu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주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