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멈춘 비핵 평화 프로세스와 한국교회의 숙제 (Analysis on Stopped Nuclear Peace Process and the Homeworks Churches’ Practical Pla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20.02
24P 미리보기
멈춘 비핵 평화 프로세스와 한국교회의 숙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68호 / 865 ~ 888페이지
    · 저자명 : 윤성민

    초록

    본고에서 저자는 사회과학적 접근과 신학을 접목하여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이후 고착된 평화통일운동과 비핵 평화 프로세스를 검토해 보고 교회의 역할을 다시금 점검해 보았다. 그 이유는 북미 간의 고착된 상황이 미국 대선까지 진행될 것 같다는 분석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또한, 북한의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시험과 한미 연합군사훈련이 다시 시작되면서 한반도의 평화통일운동도 멈추어졌다. 이런 상황에서도 교회는 그동안 한국교회의 사명인 남북한의 평화통일운동을 전개하면서 남북미 간의 비핵 평화 프로섹스가 다시금 전개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 논문은 우선 판문점 선언부터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까지 진행과정을 살펴보면서, 현재 북미 간 정상회담이 결여된 이유와 앞으로의 숙제를 정리해 놓았다.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이유는 미국과 북한이 생각하는 비핵화로 가는 방법과 그 개념이 다르기 때문이다. 하노이에서 도널드 트럼프와 김정은은 서로의 정치적 입장 때문에 만났지만, 결국 서로 간의 기대치를 조정하지 못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중재로 남북미 정상회담이 판문점에 있었지만 현재까지 모든 관계가 고착상태에 빠져있다. 앞으로 남북미 간의 숙제는 비핵화 개념과 그 방법에 대해서 일치된 의견과 프로섹스를 맞추는 일이고, 북미 간의 양보와 신뢰를 구축하면서 ‘행동 대 행동’으로 비핵 평화 프로세스를 진행해야 한다. 저자는 비핵 평화 프로섹스가 고착상태에 빠진 상황에서 한국교회의 실천적 행동과 세계교회와의 연대를 모색해 보았다. 한국교회는 우선 시편 기자처럼 탄식하고 신음하는 기도와 설교(교육)를 통해서 남북 관계와 북미 관계에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가 다시금 진행될 수 있는 선교적 실천을 전개해야 한다. 독일통일도 성 니콜라이 교회에서 시작한 기도회에서 시작하였다. 한국교회가 그동안 해 왔던 이 사명감과 사역을 다시금 회복하면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와 세계교회협의회(WCC) 등의 협력을 통해서 국내외적으로 한반도 평화통일운동과 비핵화 운동을 계속 전개해야 한다.

    영어초록

    The author of this paper analyzed the peaceful reunification movement, stalled when the U.S.-North Korean Summit in Hanoi broke down and the non-nuclear peace process by combining socioscientific approach with theology and reconsidered the role of churches. The dominant analysis is that the stalled situation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is likely to continue until the United States presidential election. As North Korea’s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ICBM) test and U.S.-South Korean joint military drill also began again, the Korean Peninsula’s peaceful reunification movement stopped. Under such situation, churches have to try to restart the non-nuclear peaceful process between South Korea, North Korea and the U.S. while developing the South-North Korean peaceful reunification movement, which is Korean churches’ mission. This paper first looked at the process from Panmunjeom Declaration to the U.S.-North Korean Summit in Hanoi and summarized the reasons why the North Korea-U.S. Summit is now absent and the future tasks to do. The reason why the U.S.-North Korean Summit in Hanoi broke down is different from the way how the U.S. and North Korea thinks toward denuclearization. Donald Trump and Kim Jeong-eun met in Hanoi due to their political position, but they could not resolve their different expectations in the end. Thereafter, by President Mun Jae-in’s arbitration, the South Korea-North Korea-U.S. Summit was held in Panmunjeom, but all relationships fell into stagnation until now. The future task between South Korea-North Korea-U.S. is to coordinate the concerted opinion and process about the concept denuclearization and the methods and proceed with the non-nuclear peaceful process in “action for action’ while establishing concession and trust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 The author tried to seek Korean churches’ practical action when the non-nuclear peaceful process was in stagnation and cooperate with the global churches. Korean churches first have to develop missionary practice to proceed with the Korean Peninsula Peace Process again in the South-North relation and the North Korea and American relation through moaning and groaning prayer and sermon (education) like Gija in the Psalm. Germany’s unification also began from the prayer service started at Saint Nichola’s Church. Recovering this mission again, Korean churches have to continue to develop the Korean peninsula peaceful reunification movement and denuclearization movement locally and abroad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NCCK) and 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