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麗·朝鮮의 非告身 임명문서에 대한 고찰 (Analysis of non-Gosin(告身) Styled Documents for Appointment i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2.04
39P 미리보기
高麗·朝鮮의 非告身 임명문서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27호 / 112 ~ 150페이지
    · 저자명 : 카와니시 유야

    초록

    이 글은 高麗와 朝鮮의 ‘非告身 임명문서’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非告身 임명문서란 통상 임명에 사용되었던 告身(朝謝文書·官敎·敎牒) 이외의 임명문서를 가리킨다. 조선시대에는 差帖이나 傳令과 같은 임명문서가, 그리고 고려말기·조선초기(13세기 중엽~15세기 말)에는 箚付 등의 임명문서가 존재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非告身 임명문서에 대해서는 이제까지 소수의 개별 연구가 있었을 뿐이고, 그실태가 종합적으로 검토된 적이 없었다. 때문에 이 글에서는 高麗·朝鮮의 非告身 임명문서의 종류와 기능의 정리를 목적으로 삼았다. 또 非告身 임명문서의 기원에 대해서 고찰하기 위해 중국 여러 왕조(唐·宋·元·明)의 告身과 非告身 임명문서의 관계에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검토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선시대에는 差帖·差關·傳令이임명문서로서 사용되고 있었다. 그 특징은 ①중앙·지방의 관부·관료에서 발급되었고, ②散官(文武散階)을 부여하지 않았고, ③특수한 관직임명에 사용되었다고 정리할수 있다. 고려말기와 조선초기의 非告身 임명문서로서는 箚付 등을 들 수 있고, 濟州人이나 女眞人을 萬戶·千戶·百戶 등으로 임명할 때 사용되었던 것이 확인된다. 또 高麗와 朝鮮의 非告身 임명문서와 중국 여러 왕조의 非告身 임명문서에는 공통점이 많아 전자가 후자의 계보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documents on non-Gosin(告身) styled documents i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which is the written appointments except for regular ones as known as Gosin including Josamunseo(朝謝文書), Gwangyo(官敎), and Gyochop(敎牒). The existence of written appointments, such as Chacheop(差帖) and Jeonryeong(傳令) in the Joseon Dynasty, and Chabu(箚付) from the late Goryeo to early Joseon Dynasty have been confirmed, however, there have been only a few individual researches on it without taking a comprehensive approach. Therefore, this thesis aimed to organize types and functions of non-Gosin styled documents i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and als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non-Gosin styled documents and Gosin in the Tang, Song, Yuan, and Ming dynasties in China additionally to see the origin of it.
    These approache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of all, Chacheop,Chagwan(差關), and Jeonryeong were used as a document of appointment in the Joseon Dynasty, which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were granted by central or local officials, not given for Changwan(散官), and used for particular official appointments. As a non-Gosin styled documents from the late of Goryeo to early Joseon Dynasty, there were Chabu, and so on used when appointing people in Jeju or Jusen to Manho(萬戶), Cheonho(千戶), Baekho(百戶), etc.. Moreover, many common points about non-Gosin styled documents are found among the Goryeo, Joseon Dynasties and each dynasties in China which proclaims that the former lies on the latter’s genea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