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의 비선형성 비서사적 스토리텔링 연구 - <나비효과>,<엣지 오브 투모로우>의 다중분기구조를 중심으로 (A Study on Storytelling in Nonlinearity & Nonnarrative of Film - Multi Branching Structure of ,)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6.09
13P 미리보기
영화의 비선형성 비서사적 스토리텔링 연구 - &lt;나비효과&gt;,&lt;엣지 오브 투모로우&gt;의 다중분기구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25권 / 355 ~ 367페이지
    · 저자명 : 임대희, 변민주

    초록

    영화산업은 막대한 자본이 소비되는 문화산업으로비약적인 발전을 이뤘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스토리창작에 관한 논의와 연구는 매우 어려운 난제로 여겨졌다. 최근 몇 년간 꿈의 공장이라 불리는 헐리웃에서흥행으로 검증된 기존 영화들조차 리메이크(Remake), 프리퀄(Prequel) 등 자기표절과 자기변주 된 영화들이상당수를 이루고 있는 현실이며, 마블 코믹스로 대표되는 코믹스(Comics)를 영화화하여 시리즈물로 기획되고 있는 현상도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관습적인 선형성 서사적 스토리텔링과는 차별성을 띠고 있는 비선형성연구를 통해 스토리 창작의 난제를 새로운 각도로 조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에릭 브레스, J. 마키에 그러버(Eric Bress, J. Mackye Gruber) 감독의 영화 <나비효과>(2004)와 더그 라이만(Doug Liman) 감독의 영화 <엣지 오브 투모로우>(2014)이다. 본 연구는 두 영화의 스토리텔링에서 보여 지는비선형성 비서사적 스토리텔링을 분석하고, 특히 두영화에 공통적으로 드러나 있는 비선형 비서사적 다중분기구조를 주목하고자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부터 비롯된 ‘시작, 중간, 결론’ 3막 서사는 이야기의 시간과 공간을 체계적으로다루는 내러티브(Narrative)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누구에게 무엇이 일어났는가?’ 이러한 기존의 연구경향을 탈피하여 ‘그 이야기가 어떻게 전달되는가?’, ‘이야기의 재료를 어디에 배치할 것인가?’ 등 ‘어떻게’ 란 관점에서 스토리텔링의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이 논문을 통해 기존의 관습적인 선형성 서사적 관점에서의 스토리, 플롯, 캐릭터에만 집중되어 있는 영화 스토리텔링 창작 연구에 있어 아직많은 연구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새로운 비선형성 비서사적 스토리텔링 창작에 도움이 됨과 더불어 인터랙티브(Interactive) 요소를 포함한 더 진전된 후속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film industry has spent a huge amount of capital and has developed by leaps and bounds as a cultural industry. Despite this, discussions and studies about writing new scripts have been considered very challenging. In recent years, even if Hollywood has been called the factory of dreams, remakes and sequels for good movies are plentiful and are, in essence, self-plagiarism and just variations of the original good movies. An example is Marvel movies. Like the comics, the movies have become serialized and this is expected to continue on an increasing basi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iscuss non-linearity story-telling manners in writing scripts, instead of the traditional linear manner of script writing. This will be don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ollowing: <The Butterfly Effect> (2004) directed by Eric Bress and J. Mackye Gruber; and <Edge of Tomorrow> (2014) directed by Doug Liman. This study compares the non-linear, non-narrative multi-branching structure that is common to these two films in particular.
    Aristotle's Poetics was the seed for the three-act narrative style (beginning, middle, and conclusion) that is used in modern writing to deal with time and space systematic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method of how a story passes, and where various elements are placed within the story, instead of just a 'what happened to someone' style of story telling.
    Traditional story telling methods only focus on plot and characters. Therefore, the researcher in this thesis focuses on linear writing that has not been discussed or studied at length. The aim is to aid in non-linearity non-narrative story-telling creation and is expected to further studies within the field with Interactive ele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