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선형 인과의 불교철학적 이해 (A Buddhist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Non-linear Causal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6.12
20P 미리보기
비선형 인과의 불교철학적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77호 / 285 ~ 304페이지
    · 저자명 : 김종욱

    초록

    실체론에서 관계론으로의 전환을 지향하는 현대 과학의 대표인 시스템 이론과 복잡계 과학에서 관계론은 인과 관계의 비선형성으로 특징지어진다. 비선형 인과란 원인이결과를 향해 일방향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선형 인과에 대한 거부로서, 결과가 다시 자신의 원인에게 영향을 주어 그 원인을 재구조화한다는 인과의 양방향성을 가리킨다.
    그런데 기존의 대다수 학문에서 인과율은 원인에서 결과로 일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선형 인과로 인식되어왔다. 고대의 이데아론과 중세의 창조론과 근대의 기계론은모두 인과가 선형적으로 원인에서 결과로 일방향으로만 간다고 본다는 점에서 공통되는데, 이런 선형 인과는 그 일방향성으로 인해 사물과 인간을 위계화하고 도구화하는 데훌륭한 수단이 될 수 있었다. 그러나 현대의 복잡계 과학에선 이런 인과의 일방향성을거부하고, 결과도 원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양방향성의 비선형 인과를 주장한다.
    복잡계 과학에서 나타나는 비선형 인과의 방식은 불교 교학의 핵심 개념인 연기와 공에서도 발견된다. 무명과 행, 행과 식, 식과 명색 등 십이연기의 각 관계 항목들에서 결과가 거꾸로 원인에게 그 영향을 피드백하는 비선형적 현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원인과 결과 사이의 비선형적 상호의존성은 인과의 성격이 비실체적 공성임을 함축하고, 이런 인과의 공성은 인선과후(因先果後)의 선형성뿐만 아니라 과선인후(果先因後)의 비선형성도 가능함을 보여준다.
    더욱이 인선과후의 선형성과 과선인후의 비선형성 간의 중도적 균형은 정신과 물질, 몸과 마음 혹은 뇌와 마음의 관계에서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해준다. 이런 시각은 뇌가마음을 일으키고 형성하지만, 마음이 변화하면 뇌 역시도 변화한다는 뇌 가소성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마음의 변화로 뇌의 변화가 일어난다는 비선형적 가소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불교의 명상 수행인데, 명상을 통한 마음의 변화는 뇌파의 변화와 아울러뇌구조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온다.

    영어초록

    Representative of contemporary science, systems theory and complexity science aim at the transition from substance theory to relational theory. In complexity science, relational theory is characterized by the non-linearity of causation. Linear causality holds that a cause influences an effect unilaterally, while non-linear causality posits that an effect influences its cause in reverse, and thus restructures the cause. The bilateralness of cause and effect characterizes non-linear causality.
    The majority of the existing sciences have historically supported linear causality. The idea of theory in ancient philosophy, the doctrine of creation in the Middle Ages, and mechanical philosophy in the modern era all have the unilateralness of linear causality as a common denominator. Their unilateralization brought about the hierarchy between the human and nature, and hence the instrumentalization of nature. However, contemporary complexity science rejects the unilateralness of linear causality in favor of the bilateralness of -non-linear causality.
    The non-linear causality style of complexity science can be found in pratītyasamutpāda and śūnyatā, core constructs of Buddhist doctrine.
    Avidyā and saṃskāra, saṃskāra and vijñāna, vijñāna and namarūpa, and so on, in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represent the feedback phenomenon of non-linear causality. The non-linear interdependence between cause and effect implies the non-substantial śūnyatā in causality. This śūnya causation admits not only the linearity of cause first and effect last, but also the non-linearity of effect first and cause last.
    The middle way between the linearity of cause coming first and effect last, and the non-linearity of effect first and cause last provides a well-balanced perspective of the relation of mind - matter, mind - body, and mind - brain. - This vision comes out in the plasticity of the brain, which can make alterations in its structure and function through experience and practice, or through thinking and acting by itself. The continuous practice of meditation activates theta and gamma brain waves; strengthens the left prefrontal lobe, related to positive feeling; enlarges the hippocampus and orbitofrontal cortex related to memory and emotion control; activates 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related to inhibitory and relaxant ac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