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상학의 ‘비(非)정립적 의식’ 개념을 통해 본 학습의 새로운 차원 (The 'Non-Positional(nicht-thetisches) Consciousness' in the Phenomenology and the New Horizon of Learning)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0.02
18P 미리보기
현상학의 ‘비(非)정립적 의식’ 개념을 통해 본 학습의 새로운 차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철학연구 / 47호 / 185 ~ 202페이지
    · 저자명 : 조상식

    초록

    지금까지 독일과 영미권을 포함한 한국에서의 현상학적 교육학의 주된 연구 패러다임은, 현상학의 ‘실재론적 접근’의 주요 개념들인 생활세계, 신체(몸), 환경, 행위 등과 같은 범주를 통해 교육사태를 ‘맥락주의적으로’ 해석하거나 아동의 지각 및 행동을 ‘현상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물론 이러한 접근방식은 응용현상학으로서 현상학적 교육학이 학문내적 한계로 인해 선험적 주관성이나 현상학적 환원의 본래적 차원을 수용할 수 없다는 전반적인 인식에서 기인한다. 그럼에도 후설의 선험 철학적 현상학에 기대어 아동 의식의 구성과정에 접근하려는 시도도 간혹 있었다. 이 논문은 바로 그러한 발생론적․초월적 현상학적 접근에서 인간의 학습 현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논문은 의식의 선(先)반성적, 선(先)술어적인 작동의 차원인 비(非)정립적 의식을 독특하게 해명해준 후설(Husserl)의 아이디어에 주목한다. 이 개념을 통해 창조적 개념의 산출, 발견적 도약, 돌발적 이해과정 등과 같이 전통적인 학습이론인 ‘단선적 진보 모형’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학습 현상을 이해하고자 한다. 하지만 비정립적 의식 개념을 통해 인간의 학습현상에 대한 일반론적인 해명이 가능한가 하는 문제는 여전히 풀어야할 질문으로 남아 있다.

    영어초록

    Up to now the main research paradigm of phenomenological pedagogy in Korea, including Germany and Anglo-saxon areas, has been characterized as a contextualistic interpretation of educational realities through the categories such as 'life world', body, milieu and behaviour which are 'realistic traces' in the late phenomenological tradition, or as a 'phenomenal' analysis of children's behaviour and perception. Of course this research approach resulted from the comprehensive recognition that the phenomenological pedagogy as an applied phenomenology could not receive an original dimension of the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such as transcendental subjectivity and phenomenological reduction. It shows the scientific internal limitation of pedagogy, because this starts from a value-loaded theory and praxis, and can not recognize the overall psychological states based upon the consciousness philosophy of phenomenology.
    Though it being rare examples, there have been approaches to the constitutive process of children's consciousness and memories from the point of Husserl's ideas. This article also focuses upon explicating the phenomenon of learning. Therefore, it belongs to the approach of the developmental, transcendent phenomenology. The paper aims at explaining learning phenomenon through the concept of 'non-positional consciousness' ('nicht-thetisches Bewusstsein') Husserl emphasized as the pre-reflexive and pre-precative operating dimension of consciousness. This concept helps to understand learning phenomenon such as products of creative ideas, a emergent leaping discovery and an unexpected insight. These abnormal learning events can not be explained through the traditional learning theories as 'uni-linear progressive models'. But it remains the question whether the concept of non-positional consciousness can be a general conceptual instrument to explicate the phenomenon of lear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