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양식성과 비정통성으로서의 민화가 지닌 현상학적 해석 (Phenomenological Interpretation of Minhwa in terms of Non-Formality and Non-Legitimacy)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4.06
12P 미리보기
비양식성과 비정통성으로서의 민화가 지닌 현상학적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16권 / 69 ~ 80페이지
    · 저자명 : 김연화, 한석우

    초록

    민화(Minhwa)는 조선조시대 생활인의 문화, 역사적변화속에서 자연스럽게 탄생된 우리 민족 예술의 정체성이 내제된 고유의 양식이며 조형 표상이다. 이는 일상적인 생활속에서 지속적으로 형성되었으므로 창조적인 동인의 사고와 잠재적인 미의식이 순수하게 내적깊이로 표출된 사상, 의식, 행동, 규범이 작위없이 나타난 독창적 예술작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지복(至福)사상의 발상적 기원을지니고 있는 민화의 비인위성, 비양식성과 비정통성으로서의 형식을 지닌 조형표상의 진단과 규명에 연구의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한 접근방법과 범위는 모티브의 상징과 추상적 재현의 대표적 작품 99점을 11개의 카테고리 별로분류, 인지, 분석, 진단, 재해석 하였다. 민족적 기질과사회적 양태 및 자연숭배신앙, 민간신앙, 도교, 유교,불교적 관점에서의 현상학적 해석과 진단을 통해 민화의 환원적 현상과 형식으로서의 내포성과 외연성의 존재론적 미적가치의 준거를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연구를 통해 발견된 작품의 조형적 정체성에는 서술적, 해학적, 일상적인 콘텐츠로 무작위의 형식배제와비재현적, 비공간성으로 구성되고 있음을 확인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영어초록

    Minhwa is a unique culture and formative symbolthat embeds the identity of our ethnic art naturallycreated in the midst of cultural-historical changes.
    Since it was continuously formed in ordinary life, itis an original work of art that unintentionallyexpresses ideology, consciousness, behavior, andstandard that genuinely presented creative thoughtand potential beauty as inner depth.
    This study aims for the diagnosis andinvestigation of the formative emblem that takes theform of Minhwa's non-artificiality, non-formality,and non-legitimacy that has the conceptual origin ofextreme happiness in daily life.
    The method of approach and range includedcategorizing, recognizing, analyzing, diagnosing, andreinterpreting 99 work pieces in 11 categories thatare representative in the emblem of motive andabstract representation. Through thephenomenological analysis and diagnosis in respect ofethnic characteristics, nature worship, folk belief,Taoism, and Buddhism, Minhwa's it was verifiedbased on the criteria for the ontological aestheticvalue of inclusiveness and extensionality as areductive phenomenon and form of Minhwa.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confirmingthat the formative identity of artwork found throughthe study are narrative, humorous, and ordinarycontents that excludes the formality; and it is formedin terms of non-representation, and non-spati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