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韓・中・日 3國 學界의 <集安高句麗碑> 硏究動向과 課題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studies dealing with the “Koguryo Tablet at Jian(集安高句麗碑)” in Korea, China, and Japan)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6.12
48P 미리보기
韓・中・日 3國 學界의 &lt;集安高句麗碑&gt; 硏究動向과 課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77호 / 125 ~ 172페이지
    · 저자명 : 여호규

    초록

    集安高句麗碑[集安碑]는 2012년에 발견된 이래 100여 편의 글이 발표될 정도로 많은 관심을 끌었다. 다만 正面의 218자 중 판독상 異見이 없는 글자는 140여자에 불과하다. 이로 인해 판독과 관련해 다양한 견해가 제기되었는데, 특히 韓․中 양국학계의 견해가 대립하는 부분이 많다.
    가령 Ⅶ행 4-8자에 대해 중국학계에서는 ‘丁卯歲刊石’이나 ‘癸卯歲刊石’, 한국학계에서는 ‘好太[聖]王曰’ 등의 판독안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견해차는 비석의 건립시기에 대한 異見으로 이어진다. 여러 중국학자들이 ‘丁卯歲刊石’ 판독안을 근거로 장수왕대 건립설을 주장하는 반면, 한국학자들은 ‘[好太聖]王曰’ 판독안을 근거로 광개토왕대 건립설을 주장한다.
    비석의 성격에 대해서는 守墓碑說과 非守墓碑說로 대별된다. 守墓碑說은 集安碑를 광개토왕이 역대 왕릉에 건립했다는 守墓碑의 하나로 파악하는 견해이다. 이에 대해 非守墓碑說은 集安碑에 특정 왕릉과 연관시킬만한 표현이 없고, 주로 수묘제와 관련한 일반 법령을 기술했다는 점을 들어 律令碑나 守墓制 宣布碑 등으로 파악한다.
    한편 集安碑에는 종전 사료에 보이지 않던 용어나 표현이 다수 확인된다. 이에 여러 연구자들이 이들 용어나 표현을 분석해 고구려 건국설화, 수묘제, 율령제 등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있다. 그렇지만 판독에 대한 견해차가 좁혀지지 않으면 연구를 크게 진전시키기 힘들다. 그러므로 韓․中 양국의 공동조사를 통해 판독상의 異見을 해소하고, 集安碑를 통해 고구려사를 더욱 풍부하게 고찰할 토대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Koguryo Tablet at Jian [集安高句麗碑: 集安碑] has drawn much attention from scholars since it was found in 2012. Unfortunately, however, scholars are only agreeing about the nature of around 140 letters out of the total of 218 letters found on the front side of the Tablet. This situation has led to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translation of the Jian Tablet’s contents, and the Korean and Chinese academic communities’ interpretations are particularly clashing.
    For example, while Chinese scholars argue that the 4th to 8th letters on line Ⅶ should be read as “丁卯歲刊石” or “癸卯歲刊石,” it is widely viewed by Korean scholars as “好太[聖]王曰.” These different interpretations have raised different theories about the date of erection of the Tablet. While many Chinese scholars argue that it was erected under King Jangsu (長壽王), Korean scholars contend that it was founded during King Gwang’gaeto (廣開土王)’s reign.
    Regarding the nature of the Tablet, some believe it was erected to guard a tomb (the “守墓碑說” theory), while others disagree (the “非守墓碑說” theory). The former theory holds that the Jian Tablet was one of the many tablets supposedly erected by King Gwang’gaeto at every royal mausoleum. Meanwhile, the latter theory holds that the Jian Tablet contains no reference relevant enough to connect it with a particular royal mausoleum.
    In order to move forward, we should aim to resolve the current differences in the translation of the Tablet’s contents. Joint survey projects between Korean and Chinese scholars are required to resolve the differences of opinions so as to establish a firm basis for expansion of our knowledge of the Koguryo history through the Jian Tabl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