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좌∙우 코를 이용한 호흡법(prāṇāyāma) 연구 -『꿈브하까 편람(Kumbhakapaddhati)』을 중심으로 (A study on various Prāṇāyāma techniques using the left and right nostrils -based on Raghuvīra’s Kumbhakapaddhati)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23.09
42P 미리보기
좌∙우 코를 이용한 호흡법(prāṇāyāma) 연구 -『꿈브하까 편람(Kumbhakapaddhati)』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요가학회
    · 수록지 정보 : 요가학연구 / 30호 / 61 ~ 102페이지
    · 저자명 : 박영길

    초록

    하타요가의 호흡법은 『고락샤의 백송』, 『요가의 근본』을 거쳐 15세기의 『하타의 등불』에 의해 여덟 체계로 정비된 바 있지만 그 이후의 전성기를 거쳐 18세기 작품인 『꿈브하까 편람』(Kumbhakapaddhati, KP)에 이르러 54종류로 확대되었다.
    『꿈브하까 편람』을 비롯한 하타요가 문헌에서 설명된 호흡법은 까마귀 부리처럼 혀를 둥글게 말아 입 밖으로 내민 상태에서 숨을 마시는 기법(śitalīkumbhaka)과 혀를 입천장에 붙여 싯소리를 내면서 숨을 마시는 기법(śītkārīkubmahak) 그리고 양쪽 코와 입으로 동시에 숨을 마시는 기법(triśūlakumbhaka)도 있지만 그 외에는 모두 ‘입을 다문 상태에서’(mukhaṃ saṃyamya) ‘코로 숨을 마시고 규정대로 참은 후 코로 숨을 내쉬는 방법’을 취한다.
    코를 이용하는 기법에는 양쪽 코를 이용하는 기법과 한쪽 코를 이용하는 기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는데 전자는 양쪽 코로 숨을 마시고 내쉬는 것이므로 기법 자체는 단순하고 특별히 논의해야 할 요소는 발견되지 않는다. 하지만 후자의 경우, 그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는 좌∙우 코를 교차하는 기법인데 대표적인 기법은 『꿈브하까 편람』에서 설명된 나디정화-꿈브하까(nāḍīśudhikumbhaka)이다. 이 기법은 결대로(anuloma) ① 왼쪽 코로 숨을 마시고 규정대로 참은 후 오른쪽으로 내쉰 후 반대결(viloma)로 ② 오른쪽 코로 숨을 마시고 규정대로 참은 후 왼쪽 코로 내쉬고 다시 ①-②의 과정을 반복하는 교차(交叉) 호흡법이다. 두 번째는 좌우 코를 교차하는 것이 아니라 결대로(anuloma) 한 방향으로 숨을 마시고 내쉬는 일방통행적 순행(順行) 방식이다. 대표적인 기법은 수리야브헤다(태양관통) 꿈브하까<sūryabhedakumbhaka>인데 이 기법은 ① 오른쪽 코로 숨을 마시고 규정대로 참은 후 왼쪽 코로 내쉬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교차 방식과 순행 방식을 혼합하는 혼용(混用) 방식이다. 대표적인 기법은 『월광』에서 설명된 두 종류의 브하스뜨리까(풀무) 꿈브하까(bhastrikākumbhaka)이다. 두 종류의 브하스뜨리까 중에서 첫 번째는 ① 오른쪽 코로 숨을 마시고 오른쪽 코로 숨을 내쉬는 것을 반복한 후 ② 오른쪽 코로 숨을 마시고 규정대로 참은 후 왼쪽 코로 내쉬고 ③ 왼쪽 코로 숨을 마시고 왼쪽 코로 숨을 내쉬는 것을 반복한 후 ④ 왼쪽 코로 숨을 마시고 규정대로 참은 후 오른쪽 코로 내쉬는 기법이다. 두 번째는 ① 오른쪽 코로 숨을 마시고 오른쪽 코로 내쉬는 것을 100번 반복한 후 ② 오른쪽 코로 숨을 마시고 규정대로 참은 후 왼쪽 코로 숨을 내쉬고 다시 다시 방향을 바꾸어 ③ 왼쪽 코로 숨을 마시고 왼쪽 코로 내쉬는 것을 100번 반복한 후 ④ 왼쪽 코로 숨을 마시고 규정대로 참은 후 오른쪽 코로 숨을 내쉬는 것이다. 본고는 좌우 코를 이용하는 16종류의 호흡법을 교차 방식, 순행 방식, 혼용 방식으로 분류하고 그 기법을 분석했다.

    영어초록

    The prāṇāyāma techniques of haṭhayoga were organized into eight systems by Svātmārāma's Haṭhapradīpikā (c. 1450). The eight techniques described in Haṭhapradīpikā were accepted as the best standard. However, even after that, the breathing methods continued to be developed. And by the Kumbhakapaddhati (KP) of the 18th century, the breathing methods were expanded to 54 types.
    Among the breathing techniques described in haṭhayoga literature, including kumbhakapaddhati, there is another of breathing with the tongue curled up like a crow's beak and sticking out of the mouth (Śitalīkumbhaka) and a technique of breathing with the tongue pressed to the roof of the mouth and making a chirping sound (Sītkārīkumbhaka) and the yet another of simultaneously breathing through both nostrils and mouth (Triśūlakumbhaka). But other than other, all kumbhaka follow the method of inhaling through the nose ‘with the mouth closed’ (mukhaṃ saṃyamya) and exhaling through the nose ‘after holding it as prescribed’.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the breathing method of haṭhayoga is mainly a technique using the nostrils. However, the technique using the nose is divided into a technique of inhaling and exhaling through both nostrils in detail and a technique using one nostril. Since the former uses both noses, the technique is relatively simple and there are no elements to be discussed in particular.
    However, in the case of the latter, the methods a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is the technique of crossing the left and right nostrils, and the representative technique is nāḍīśudhikumbhaka described in kumbhakapadhati.
    This breathing method ① inhales through the left nostril, holds it as prescribed, then exhales through the right, ② inhales through the right nostril, holds it as prescribed, exhales through the left nostril, and then repeats the steps ①-②. This method is an alternating technique of inhaling and exhaling in one direction (anuloma)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viloma). The second is a one-way method of inhaling and exhaling in one direction (anuloma) rather than crossing the left and right noses. The representative technique is Sūryabhedakumbhaka. This technique is to ① inhale through the right nostril, hold it in as prescribed, and then exhale through the left nostril. The third is a technique that mixes the intersection method and the one-way method. A representative technique is the Bhastrikākumbhaka described in Jyotsnā . This technique is (1) repeat breathing in and out through the left nostril, then inhale through the left nostril, hold it in, then exhale through the right nostril (2) then exhale through the right nostril Repeat breathing in through the nose, then inhale through the right nostril, hold it in, and exhale through the left nostril.
    A brief summary of what has been discussed so far is as follow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