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브래드 버드 애니메이션의 시선 유도 분석 –색의 3요소를 중심으로- (Analysis of gaze induction of Brad Bird Animation -Focusing on the 3 elements of color-)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22.09
30P 미리보기
브래드 버드 애니메이션의 시선 유도 분석 –색의 3요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68호 / 7 ~ 36페이지
    · 저자명 : 김경주

    초록

    오늘날 신(scene)의 평균 길이가 짧아지거나 영상이 화려해지면서 애니메이션의 속도와 리듬이 빨라지고 있다. 이에 애니메이션에서 정보를 빠르게 찾고 받아들일 수 있게 만드는 것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브래드 버드의 애니메이션에서 사용된 시선을 유도하는 요소를 찾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효율적인 정보전달이 가능한 애니메이션 제작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 대상으로 상업적, 작품적으로 좋은 평을 받는 브래드 버드의 대표 애니메이션 세 작품 <아이언 자이언트>, <인크레더블>, <라따뚜이>를 선정하고 대표적인 시선 유도 역할을 하는 색의 요소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애니메이션들을 밝기의 차이만을 보여주는 영상, 채도의 차이만을 보여주는 영상, 색조의 차이만을 보여주는 영상으로 변환하여 각 애니메이션마다 3개의 추가 영상을 만들었다. 그 후 변환된 영상에서 시선 유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움직임이나 익숙한 형태, 레이아웃적인 요소를 제거하였다. 원본 영상을 포함한 총 12개의 영상을 시선추적장치를 이용하여 시청하고 시선 위치 정보가 나타나도록 녹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원본 영상을 시청하였을 시 보이는 시선의 위치와 변환된 영상을 시청하였을 시 보이는 시선의 위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세 편의 애니메이션에 이 작업을 반복하여 분석한 결과, 색조, 밝기, 채도의 차이로 인한 시선 유도가 모두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특히 밝기와 색조의 차이로 인한 시선 유도는 애니메이션 전체 컷의 70% 이상의 비율로 사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채도 역시 평균 60% 이상의 비율로 사용된 것을 확인하였다. 브래드 버드가 감독한 대표적인 애니메이션들의 성공적인 시선 유도 연출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색의 3요소 모두 시선 유도를 위하여 높은 비율로 사용되고 특히 밝기와 색조는 매우 높은 비율로 사용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 시대에 성공적으로 적용된 효과적인 시선 유도 방식을 분석, 확인하였고 이 분석 자료를 새로운 영상이나 애니메이션 제작 시에 적용함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관객의 시선을 유도하는 영상,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oday, as the average length of cuts gets shorter or video becomes more flashy, the speed and rhythm of animations are getting faster. Therefore, it is becoming more important to make animations to find and accept information quick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lements that induce the gaze used in the animation of Brad Bird, and through this, to help in the production of animations that enable efficient information delivery. For this purpose, Brad Bird’s animation works <The Iron Giant>, <Ratatouille>, and <The Incredible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Also The element of color, which plays a representative role of inducing gaze, was selected as an analysis target. Three additional videos were created for each animation by converting the selected animations into an video showing only a difference in brightness, an video showing only a difference in hue, and an video showing only a difference in saturation. After that, the movement, familiar form, and layout elements that may affect gaze guidance were removed from these converted videos. A total of 12 videos, including the original animation, were watched using an eye tracking device and recorded so that the information appeared in the eye position. Finally, the position of the gaze when viewing the original animation and the position of the gaze when viewing the converted video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repeating this analysis, all of the gaze guidance due to the difference in hue, brightness, and saturation showed a high rat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aturation was also used at an average ratio of 60% or more. By analyzing the eye-guided directing method of successful Brad Bird’s representative animations, it was confirmed that all three elements of color are used at a high rate for eye-induction, and especially, hue and brightness are used at a very high rate. Through this study, an effective gaze guidance method successfully applied in Brad Bird animations was identified and analyzed. Also expecting that by applying this analysis data to the production of a new video or animation, it can be helpful in producing a video animation that more effectively induces the audience’s gaz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만화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