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머시브 연극의 경험성과 매체성 연구 (The Experientiality and Mediality of Immersive Theate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5.03
28P 미리보기
이머시브 연극의 경험성과 매체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콘텐츠 / 36호 / 109 ~ 136페이지
    · 저자명 : 백영주

    초록

    2000년대 초중반을 기점으로, 공공 예술정책과 맞물려 도시재생 문화 사업이한창 추진되던 영국을 중심으로 형성된 ‘이머시브 연극’(Immersive theatre)은무대와 관객석의 경계가 와해된 공간적 환경을 제공하며, 관객이 직접 이동하며창발적으로 내러티브를 구성해가는 참여형 공연형태를 통칭한다. 이는 ‘환경극’(Environmental theatre)이나 ‘장소 특정적 공연’(Site-specific performance)등, 극장 제도와 언어 텍스트 중심의 공연 관습에서 탈피하기 위한 시도들과맥을 같이하면서도, 지난 10여 년 동안 디지털 융합기술을 중심으로 급변한 매체환경을 고스란히 투영해내고 있다.
    ‘이머전’(immersion)은 지각적인 동시에 심리적인 현상으로서, 경험자의 의식과 감각이 한 곳에 통합된 상태를 나타내며 ‘지금 여기에’의 의미를 다중화(多重化)한다. 연극공연에서 ‘이머전’ 개념의 도입은 스마트 기기를 중심으로 소셜 미디어나게임 등, 사용자 중심의 디지털 인터렉티브 매체를 통해 매개되고 재편되고 있는동시대의 인지·감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개인 미디어와 모바일 콘텐츠의 발달은 집단성에 근간해왔던 연극의 수용 양상에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용공간인극장의 개념 또한 다변화되고 있다.
    이머시브 연극은 전달기술로서 테크놀로지가 매개하는 현실을 능동적으로 수용하면서도, 개별적 몸의 잠재성과 직접경험의 가치회복을 통해 관객을 창조주체로 상정하며, ‘가상현실’의 진정성과 연극 본연의 매체성을 되찾으려 하고 있다. 본 연구는‘이머시브’와 ‘연극’의 용어적 결합의 문제와 의미 분석을 통해, 트랜스미디어 시대의연극이 존재하는 방식과 그 가능성을 논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Since the early mid-2000s, the emergence of immersive theatre which has been triggered through the nationwide promotion of the public arts policy and urban renewal projects in England is burgeoning: it provides an environment where demarcation between the stageand the spectator is eliminated so that the spectator literally walks into the work, becoming a physical part of performance-making. Breaking away from the institution of languagebased dramatic texts, the immersive theatre, in a way, is the latest installment of‘environmental theatre’ or ’site-specific performance’. In this context, it delineates thesensorimotor experiences and the physicality of location. However, ‘immersion’ astransphysical phenomenon, the conflicting terminology of ‘immersive theatre’ reflects themajor paradigm shift in human experiential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digital media overthe last decades. The employment of the very notion of ‘immersion’ as a governing device of theatre-making postulates the theatre as an embodiment of contemporary experiences in the convergence-flux of mobile technology, media contents and personal devices. Woveninto the fabric of the daily life, it affects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of theatre,diversifying its formation and modality. Immersive theatre paradoxically acknowledgestechnologically mediated reality as a leverage to revitalize the overused term ‘virtualreality’ as the authentic and the real.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operational logics and multimodality of immersive theatre as both concept and corporeal phenomenology with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transmedial enviro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콘텐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