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웹 페이지 내 분석 도구의 추세 데이터 분석을 위한 UX 디자인 연구 ­-뷰저블 솔루션 연구를 중심으로­- (A UX Design on the Trend Data Analysis of In-page Visual Analytics Tools -Focused on Beusable Solution Research-)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9.06
17P 미리보기
웹 페이지 내 분석 도구의 추세 데이터 분석을 위한 UX 디자인 연구 ­-뷰저블 솔루션 연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 18권 / 2호 / 45 ~ 61페이지
    · 저자명 : 윤소현, 이지현

    초록

    연구배경: 최근 세계적으로 데이터산업 시장이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사이트를 발굴하고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웹 페이지 내 분석 도구(in-page analytics tool)가 전 분야에 걸쳐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웹 페이지 내 분석 도구들의 기능은 히트맵을 기반으로 한 공시적 분석 위주이며 서비스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통시적 분석을 위한 UI와 기능이 고려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세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UX 측면에서 서비스 개선 요소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UI 개발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 조사와 사례 조사를 통해 데이터 시각화 방법에 관해 연구하고, 국내외 데이터 시각화 도구의 시각화 방식을 분석하여 웹 페이지 내 분석 도구의 UI 개발을 위한 서비스를 조사했다. 주요 연구 대상은 추후 프로토타입 개발 및 진행을 위하여 초보자도 쉽게 접근하여 데이터를 살펴볼 수 있는 시각화 도구인 뷰저블로 선정하였다. 뷰저블 서비스의 분석을 통해 데이터 시각화 도구의 기본 구성 요소 및 개선 요소를 분석하고, 추세 데이터 관점의 서비스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서비스 아이디어의 기능 요소를 바탕으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전문가 평가를 통해 연구 가설을 검증했다.
    연구결과: 프로토타입을 통해 전문가 평가를 진행한 결과, 데이터의 추세에 집중하여 비교를 세분화하여 카테고리화 한 것에 관한 연구 방향성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주요 개선점으로는 장기간 추세 데이터의 필요성에 대한 정의와 히트맵과 분석 내용의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점이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UX 디자이너가 시간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 흐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전체적인 패턴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연구 가설을 세우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전문가 평가를 진행해 연구 가설을 검증하고 사용성 검증 및 개선점을 확인했다. 분석 결과, 실무자 관점에서 필수적인 기능에 집중하여 새로운 시각의 데이터 분석 기능을 제안하였다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얻은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Throughout the data industry markets grow in size globally, in-page analytics Tool to help gain insights and make storytelling using data is widely used. However, the functions of the in-page analytics Tools are focused on the public analysis based on the heatmap and the UI and functions for the analysis of the overall flow of the insight for the service are not considered. Therefore, i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UI development that helps users to get service improvement factors from UX side, focusing on trend data analysis.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data visualization method through literature survey and case study and investigating service for UI development of analysis tool in web page.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as a visualization tool, which is a visualization tool for easy access and data viewing for future prototype development and progress. Analysis of basic components and improvement factors of data visualization tool through analysis of Beusable and derived service idea from trend data perspective. Based on the functional elements of the service idea, the prototype was produced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expert evaluation.
    Result: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the experts through the prototype, we focused on the trend of the data and made a positive response to the research direction of the category by comparing the comparison. Key improvements include the need to define long-term trend data and the lack of a link between the heatmap and the analysis.
    Conclusion: In this study, UX designer made a research hypothesis and prototype to understand the overall pattern of how user data flow changes over time and to improve problems.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by not only the suggestion of the interaction but also the expert evaluation, and confirmed the usability verification and improvement poi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meaningful to have received a positive answer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data analysis function of the new perspective is focused on the essential functions from the viewpoint of the practition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