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저자원 공동개발에 대한 국제법적 고찰 - 한일대륙붕공동개발협정을 중심으로 - (A Legal Study on Joint Development of Shared Marine Resource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5.05
35P 미리보기
해저자원 공동개발에 대한 국제법적 고찰 - 한일대륙붕공동개발협정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56권 / 2호 / 93 ~ 127페이지
    · 저자명 : 이석용

    초록

    육상자원의 고갈로 해양자원이 주목을 받고 해양과학기술의 발달로 해저자원의 탐사와 개발이 광역화 되어가는 가운데, 해양법협약의 발효이후 해저자원 개발문제가 다시금 세인의 관심을 끌고 있다. 하지만 협약의 대륙붕에 대한 정의와 해양경계획정의 원칙에 대한 입장차이로 인하여 국가 간에 해양경계선을 긋는 것은 용이하지가 않다. 더구나 석유와 같은 해저자원 광상이 이미 획정된 연안국간 해양경계선에 걸쳐있거나 아직 경계선이 획정되지 않은 경계미획정수역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저자원의 공동개발협정을 체결하여 개발에 나서는 경우가 많다.
    오늘날 석유와 같은 해저자원 공동개발을 위해 국가들이 협정을 체결하는 사례가 전세계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 그러한 자원의 공동개발을 추진해야 한다는 국제법 규칙이 형성된 것은 아니다. 국가들이 공유자원의 공동개발을 위해 협력해야 할 의무는 인정되지만, 어떤 합의에 이르러야 할 의무가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보다 효율적인 공동개발을 위하여 어떤 관리체제를 수립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남는다.
    동북아시아의 황해와 동중국해는 대부분이 하나의 대륙붕으로 연결되어 있고 석유자원의 부존가능성도 높아서, 그곳에 해양경계선을 획정하는 일은 동북아시아 국가 간에 예민한 문제가 되었다. 한국과 일본은 1974년 대륙붕 공동개발협정을 체결하여 양국의 대륙붕 주장이 겹치는 곳에 면적 82,000㎢에 달하는 공동개발구역을 설치하였으나, 해저자원의 탐사와 개발은 진척이 없는 상태이다.
    한일대륙붕공동개발협정의 종료 시점은 2028년이다. 협정이 체결된 1974년 이후 해양법협약의 채택과 발효 그리고 국가들의 실행을 통해 국제해양질서는 많이 달라졌지만, 한일 양국의 동중국해 대륙붕에 대한 권원과 해양경계회정 원칙에 대한 주장은 별로 달라지지 않았다. 한국과 일본은 해양경계획정을 위한 양국 간 회담을 앞으로도 계속 진행할 것이다. 그러나 국제해양질서나 양국의 입장에 근본적인 변화가 없는 한 양국은 2028년 이후에도 공동개발체제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그럴 경우 공동개발협정은 그 목적에 맞게 보다 효율적인 자원개발협정으로 바뀌어져야 한다. 특히 공동개발협정에 의해 설치되는 공동관리기구는 당사국 의견을 전달․조정하는 공동위원회(Joint Commission) 수준을 넘어서 보다 강력한 권한을 가지는 공동기구(Joint Authority)에 근접하는 형태가 되어야 할 것이며, 분쟁의 신속한 해결을 위하여 분쟁해결제도의 개편도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1982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LOS Convention) adopted detailed provisions for the scope of the continental shelf. The Convention and international customary law have developed principles and methods for the maritime delimitation between opposite or adjacent states. However, maritime delimitation remains difficult because of endless diversity of maritime environment and different positions of states concerned. In many cases where marine mineral deposit straddles boundaries between countries or lies in an area where the claims by coastal states are overlapped, the coastal states have concluded joint development agreements between them.
    Since 1960s numerous joint development agreements have been concluded between coastal states with shared marine resources, but it is premature to declare the custom to be an international rule. Although States ought to seek international cooperation through negotiation and consultation, reaching an agreement is not obligatory.
    In 1974, Korea and Japan concluded the Continental Shelf Joint Development Agreement to establish the Joint Development Zone in East China Sea which has an area of 82,000㎢. This Agreement will be expired in 2028, but joint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has not been carried out for a long time. However, the cooperative system of joint development is expected to be remained, as the positions of Korea and Japan over maritime delimitation in the East China Sea are not changed since 1974. If so, the 1974 Agreement should be transformed to be more efficient. Establishment of more strong joint management system like Joint Authority and reorganization of dispute settlement system for better efficiency are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