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宜興 紫沙壺와 영국 붉은 석기 주자(Red Stoneware): 조지안 시대 풍속화에 보이는 다기세트를 중심으로 (A Study of Chinese Yixing Zisha Teapot and English Red Stoneware Teapot in Georgian Conversation Piec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8.03
29P 미리보기
중국 宜興 紫沙壺와 영국 붉은 석기 주자(Red Stoneware): 조지안 시대 풍속화에 보이는 다기세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97권 / 297호 / 205 ~ 233페이지
    · 저자명 : 이정민

    초록

    18세기 영국 조지안 시대(Georgian Period, 1714~1830)에는 차 소비의 사회적, 문화적 영향력과 급증하는 도자기의 수요가 중국과의 무역을 더욱 촉진시켰다. 이와 동시에 영국의 내부적인 도자 제작기술은 영국 소비자들의 취향을 반영한 자기로 중국수입자기와 시장에서 경쟁할 만큼 성장하게 된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을 잘 반영하는 것이 이 시기 유행한 컨버세이션 피스(Conversation Piece)라는 풍속화이다. 개인 중심의 공식적인 초상화의 틀에서 벗어나 가족이나 지인들과 함께 차를 마시는 일상적인 모습이 강조된 것이 특징이며 그들의 세계관, 즉 그들의 ‘대화 주제’가 되는 사물에 관점이 더욱 집중 된다는 점에서 물질문화적인 면에서 중요한 연구 자료이다. 묘사된 차 문화와 다기세트의 다양한 조합의 분석을 통해 당시 취향의 변화와 중국수입자기와 영국 자기제작기술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였다.
    풍속화에서 보이는 자사호와 청화백자의 조합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통기성 좋고 보온성이 뛰어나며 열전도울이 낮은 자사호는 발효차인 홍차를 즐겨 마셨던 영국인들의 기능적이고 미적인 요소를 모두 만족 시킬 수 있는 다도구였다. 원료의 한계로 18세기 중반이 되어서야 제작되기 시작한 자기와는 다르게 자사호의 모방은 영국에서 거의 동시다발적으로 스태퍼드셔 지역을 중심으로 일러스 형제들(Elers)에 의해 제작되었다. 18세기 동안 풍속화에 나타나는 다양한 구성 속에 붉은 석기의 형태가 어떻게 시대별로 변화하는지에 대해 고찰한 결과 이른 시기에 보이는 자사호는 찻잔과 크기가 비슷할 정도로 작으나 점차 커지는 양상을 보인다. 형태도 각이진 구형, 육각형, 원통형 그리고 자연을 모티브로 한 나무 통형 등이 보이며장식 기법은 틀 성형, 인화, 첩화 등 특히 1740-50년대에 제작된 것은 몸체 전면에 틀 성형으로 화려하게장식된 것을 볼 수 있다.

    영어초록

    During the Georgian Period (1714-1830) in England, the social and cultural importance of tea consumption and the increasing demand for ceramics promoted the trade between England and China. Meanwhil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ceramics within England rapidly developed so that English ceramics that suit the taste of English people could compete with Chinese porcelain exported to England. This cultural phenomenon is well illustrated in the conversation pieces which were popular in England during the period. Conversation pieces depicted an everyday domestic scene, illustrating a family or friends drinking tea together, rather focused on an individual figure like in formal portraits. As these group portraits usually present the objects that served as the subjects of the conversation among the figures in the paintings, they could be important visual evidence for studying the material culture of the period. This article examines the teawares in the conversation pieces to demonstrate the English taste in ceramic consump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export porcelain and the techniques of porcelain production in England.
    While the production of porcelain began in England much later than in China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materials, the imitation of Chinese zisha teapot was carried out in England by the Elers Brothers in Staffordshire not so much later than when Yixing teapots began to be imported to England by East India Company in early eighteenth century. A frequent appearance of Chinese Zisha teapots with blue and white porcelains in the conversation piece suggests the popularity of red stoneware teapots among English people. It was fashionable and also excellent for black tea as it breathes and retains heat well. Also, the conversation pieces show that, the red stoneware teapots were as small as teacups in the beginning but gradually became bigger. They had various shapes including round, hexagonal, cylindrical shapes and a form of a tree trunk, which were inspired by forms in nature. The teapots were constructed with molding, stamping and applique decorative techniques. And especially the ones manufactured between 1740 and 1750 were molded to carry rich decorations all over the bod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