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 문화교류의 매개체로서의 <나의 붉은 고래(大鱼海棠)> ( as a Medium for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1.12
26P 미리보기
한중 문화교류의 매개체로서의 &lt;나의 붉은 고래(大鱼海棠)&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애니메이션연구 / 17권 / 4호 / 220 ~ 245페이지
    · 저자명 : 정원대

    초록

    한중 양국은 문화적 공감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갈등이 끊이지 않는 실정에 처해 있다. 한중 양국의 갈등은 상호 간의 문화교류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한중 양국의 갈등은 서로가 공유 가능한 문화적 공감대를 통해 소통할 수 있는 문화교류로 해소가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다양한 문화교류 중에서도민족신화와 결합한 애니메이션의 공유를 통한 문화 공감대 형성은 양국의 상호 문화적 차이의 격차를 줄이는 데도움이 될 수 있다. 한중 양국에서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민족신화와 일부 원형은 인간 보편적 정서가 드러나고 지역적 특색이 되기 때문에 서로 간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한다. 특히 한반도 북방과 만주지역의 민족신화는 원형의 변화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스토리텔링적 공통점도 함께 가지고 있다. 그러한민족신화와 결합한 애니메이션은 스토리텔링으로서 창조된 세계에서 한중 양국의 구성원이 서로를 간접적으로확인하고 이해하는 매개체로 작용할 수 있다. 민족신화와 결합한 애니메이션은 한중 양국이 공감할 수 있는 원형과 그 변화, 캐릭터 중심의 스토리텔링으로 문화의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 <나의 붉은 고래(大鱼海棠)>(2016)는 한중 양국이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요소와 스토리텔링으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나의 붉은 고래>에 나타난 민족신화의 원형과 그 변화는 한중 양국이 공감하기쉬운 스토리텔링적 요소에 해당한다. 또한 작중 주인공의 변화는 일종의 개인 정체성의 변화로서 동시대 한중사회 구성원이 갈망하는 자기실현과 유사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나의 붉은 고래>의 스토리텔링 분석을 통해 한중 문화교류의 매개체로서 애니메이션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나의 붉은 고래> 의 스토리텔링 분석은 주인공인 춘(椿)의 원형적 특성과 개인의 자기실현을 통해 진행하려 한다. 이를 통해 한중문화교류의 매개체로서 애니메이션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Despite the fact that there is a cultural consensus between Korea and China, conflicts continue to exist. The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can be said to be a phenomenon caused by a lack of mutual cultural exchange. It is judged that the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can be resolved through cultural exchange through mutually shared cultural consensus. Among various cultural exchanges, the formation of cultural consensus through the sharing of animation combined with national myths can help narrow the gap between the two countries’ cultural differences.
    National myths and some archetypes that can be found in both Korea and China are helpful in understanding each other’s cultures by suggesting universal huma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the national myths of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Manchuria have a common storytelling aspect in that they are made through a change in the original form. Animation combined with such national myths can act as a medium through which members of Korea and China indirectly identify and understand each other in a world created as storytelling. Animation combined with national mythology corresponds to the role of a medium that enables cultural exchange through storytelling centered on characters and archetypes and changes that both Korea and China can sympathize with. “My Red Whale (dà yú hǎi táng)” (2016) can be said to be composed of elements and storytelling that can form a cultural consensus between Korea and China. The prototype of the national myth and its changes in “My Red Whale” is a storytelling element that both Korea and China can relate to. Also, the change of the protagonist in the work is a kind of personal identity change, and it appears in a similar way to the self-actualization that members of the contemporary Korean-Chinese society long for.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nimation as a medium for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through the storytelling analysis of “My Red Whale”. The storytelling analysis of “My Red Whale” attempts to proceed through the archetypal characteristics of the main character, Chun (chūn) and her personal self-actualization. Through this, we intend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animation as a medium for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