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승전(高僧傳)』을 통해 본 위진남북조시대의 일상적인 불도 수행 (Daily Practice of Buddhist Monks in the Wei, Jin, and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rough Gaoseng Zhua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0.12
25P 미리보기
『고승전(高僧傳)』을 통해 본 위진남북조시대의 일상적인 불도 수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57호 / 289 ~ 313페이지
    · 저자명 : 손진

    초록

    중국에서 불교가 전래되고 수용되는 과정에서 계속 반복되어 온 승려들의 수행은 ‘습선’ 외에도 다양하게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 의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위진남북조시대 승려의 ‘수행’을 그들이 날마다 반복해 온 ‘행’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즉, 이러한 불도 수행의 실천이 개개의 인물과 그 인물이 살았던 시대 속에 어떻게 자리매김하는지 검토하고자 주로 『고승전』의 기술에 의거하여 그 속에서 볼 수 있는 일상적인 수행을 통해 남북조시대 불교 승려의 모습과 그 수행에 대해서, 종래의 선(禪) 중심의 연구 흐름과는 다른 시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산이나 한적한 곳에서 두타행을 닦으며 송경과 선을 닦거나, 사원에서 정주하면도 육시예참(六時禮懺)을 비롯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갖가지 행법을 매일 실천하던 승려들의 사적에서 특색 있는 교리 해석이나 교화의 방식을 찾아볼 수는 없었다. 그러나 『고승전』에 기록되어 있는 것처럼 한 이들의 일상적인 불도 실천의 모습은 아마도 당시 세간에서 이루어졌던 불도 수행 중 하나의 방법이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ractice of monks as repeated throughout Buddhism’s history of transmission and acceptance in China can be conceived in various ways other than “practicing dhy na(xichan 習禪).” Based on such awareness, this paper examines the “practice” of monks in the Wei, Jin, and Nothern and Southern Dynasties by focusing on their daily repetition of “action(行)”. To understand how this realization of Buddhist practice was established within each individual and their contemporary, I examined Gaoseng Zhuan(Biographies of Eminent Monks 高僧傳). By researching the daily practices of monks in the Wei, Jin, and Nothern and Southern Dynasties, I depart from the mainstream of doctrine or methods of edification found in reading the biographies of monks, whose everyday lives consisted of practicing Buddha’s teaching(xingfa 行法) through ascetic practice(頭陀支) in mountains or other secluded places, resitation of scriptures(songjing 誦經), meditation(chan 禪), and residence in temples for the six periods of worshiping and repentance(六時禮懺). However, these practices of Buddhism as recorded in the Biographies of Eminent Monks(高僧傳) suggest that such daily practices were one of the probable ways that Buddhism was practiced by the contemporary publ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