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에서의 실리주의와 교육의 불균등발전: 2000년대 북한 교육의 변화 (Utilitarianism in education and uneven development of education in North Korea in 2000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07.12
23P 미리보기
교육에서의 실리주의와 교육의 불균등발전: 2000년대 북한 교육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17권 / 4호 / 109 ~ 131페이지
    · 저자명 : 조정아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00년대 북한 교육의 변화를 교육정책과 교육실태의 변화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90년대 중반 경제난의 영향으로 교육 인프라 파괴와 수업 운영의 파행화, 교권 하락 등의 교육 문제를 겪었던 북한은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공교육 정상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00년대 들어 경제난 타개와 국가발전을 위해 교육 부문의 핵심 전략으로 채택된 것은 ‘교육에서의 실리주의’라는 일종의 발전교육론이다. 과학기술교육, 특히 IT분야의 인재 양성, 중등 및 고등교육에서 수재의 발굴과 양성, 교육의 질 향상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조치들이 취해졌다.
    결과적으로 국가적 교육 투자가 과학기술분야의 수재교육을 중심으로 배분되는 한편, 공교육 전반에서는 교과서, 교구비품, 학교 시설의 유지에 드는 비용에 이르기까지, 경제난 이전 시기에는 국가에서 제공하였던 공교육 비용의 상당 부분을 학부모가 부담하는 구조가 정착되었다. 이와 함께 사교육 등장이라는 획기적인 변화도 나타났다. 수재교육 중심으로의 정책 전환과 교육에서의 사적 영역의 확대는 그동안 효과적으로 지속되어온 무상교육의 이데올로기적 효과를 반감시키고 수재교육기관이 아닌 일반학교 학생들의 학습의욕과 교육의 질을 반감시키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가져왔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changing situations in North Korean education in the 2000s in terms of its policies and actual conditions. Despite the problems in education such as the destruction of infrastructure, crippled operation of school classes, and the downfall of teachers' authority as a consequence of economic difficulty during mid-1990s, North Korea put spurs to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from the beginning of 2000. To overcome its economic hardship and promote national development, North Korea has adopted 'utilitarianism in education' as core strategy in education system. This 'utilitarianism in education' is a sort of theory of education for development. The measures to improve quality of education and sharpen the competitiveness, as well as to cultivate a competent person in scientific and technical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particular have been taken. This strategy includes picking out and cultivating gifted children in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As a result, while investment for national education has been made to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in scientific and technical area, large part of public education expenses once fully provided b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before the economic difficulty have started to be covered by parents. These expenses for public education include purchasing textbooks, teaching aids and equipments as well as those required for maintaining school facilities. In addition to this, private education emerges as drastic change in education. Transforming the existing education policy to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and the expansion of private sectors have halved ideological effects of free education, which has been continued effectively for a long time. At the same time, this has also brought 'unintended results' in that it halves learning desire and education quality in ordinary school stu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