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日本 南禪寺 소장 『御製秘藏詮』의 「御製佛賦·御製詮源歌」 판화 연구 (Studies on Engraving Prints in Eojebijangjeon (including Eojebulbu and Eojejeonwonga) of Nanzenji Temple in Kyoto, Japan)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1.08
37P 미리보기
日本 南禪寺 소장 『御製秘藏詮』의 「御製佛賦·御製詮源歌」 판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25권 / 35 ~ 71페이지
    · 저자명 : 김자현

    초록

    현재 日本 京都 南禪寺소장의 高麗 初雕大藏經 『御製秘藏詮』(30권본)은 1-20권 중 결실된 17권을 제외한 19첩과 「御製佛賦」ㆍ「御製詮源歌」가 포함된 21권, 총 20첩이 현존한다. 그리고 이 『御製秘藏詮』 판화 중에는 지금까지 주목받지 못했던 21권의 「御製佛賦」와 「御製詮源歌」에 삽입된 세 장의 판화가 있다. 이는 기존에 알려졌던 산수화풍의 『御製秘藏詮』 판화들과는 전혀 다르게 불교의 변상임을 알 수 있는 금강저의 결계가 표현되어 있다. 그 세부내용 또한 석가모니의 탄생부터 成道 후 설법까지의 과정에 관련된 佛傳도상들이 표현되어 주목되며, 도상의 내용 또한 불전관련경전과 비교가 가능하다. 한편 이같이 다른 형식의 판화가 한 경전 안에 공존하는 현상은 현존하는 30권본의 『御製秘藏詮』이 983년 간행의 20권본 『御製秘藏詮』을 증보하면서 기존에 별책으로 간행되었던 「佛賦」 2수와 「詮源歌」 1수를 권제 21에 편입시켰다는 사실을 통해 산수화풍의 변상들과는 별도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세 장의 판본에 표현된 15장면은 『御製秘藏詮』의 「佛賦」ㆍ「詮源歌」의 내용과 일부 일치하는 부분을 찾을 수는 있지만, 석가의 일대기를 통해 대승의 교리를 찬탄하고자 만든 詩형식으로 제작된 「佛賦」ㆍ「詮源歌」의 내용만으로는 이같이 구체적인 佛傳도상을 제작하기는 힘들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변상의 도상을 경전과 대조해본 결과 이 변상은 『御製秘藏詮』 보다 『普曜經』의 내용과 그 전개나 묘사에 있어 상당부분이 일치하였다. 그러므로 이 판화는 『普曜經』을 소의경전으로 삼고, 일부 도상은 기존의 佛傳圖 도상을 수용하여 제작된 듯하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과 이 판본의 다양한 도상들을 염두에 둔다면, 이는 기존에 제작되어있던 佛傳판화의 형식을 그대로 차용하여 제작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또한 상당수의 『御製秘藏詮』 「佛賦」ㆍ「詮源歌」 판화의 도상들은 唐代의 佛傳幡畵나 돈황벽화와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물론 이와 같은 결과는 이시기에 해당하는 한국의 불전도의 사례가 없어 단정할 순 없다. 하지만 고려의 초조대장경이 북송의 개보칙판을 기본으로 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초조대장경에 入藏된 『御製秘藏詮』 판화가 그 배치순서와 세부표현에 일부 변화를 주어 새롭게 판목을 마련했다는 사실이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그러므로 도상의 양상과 전체적인 구도에 있어서 북송의 영향이 절대적임을 부정할 수는 없지만, 새롭게 판목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고려의 미감이 반영되어 일부 변형이 이루어졌을 가능성도 배재할 수는 없다.
    한편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현존 最古의 불전관련 불화는 1459년에 제작된 『月印釋譜』의 八相版畵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상에서 밝힌 바와 같이 11세기 제작의 『御製秘藏詮』의 「佛賦」ㆍ「詮源歌」 판화는 석가모니의 출생부터 성도와 전법을 다룬 불전도로, 팔상도와 그 구성형식은 다르지만 佛傳관련 자료로서 가장 이른 예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판화로 인해 기존의 견해와는 달리, 한국에서도 고려시대에 이미 석가모니 일생 중 八相만이 아닌 여타의 사건들을 다룬 佛傳圖의 형식도 전해졌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게 되었다.
    즉『御製秘藏詮』의 「佛賦」ㆍ「詮源歌」 판화는 고려시대에 다양한 불전도상이 존재했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임과 동시에,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독특하고 유일한 불전변상판화라는 점에서 불전도 연구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이와 같은 형식의 불전변상은 지금까지 국내는 물론, 중국에서도 알려진 바가 없어 이 판화의 가치는 매우 높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로써 그동안 해결하지 못했던 고려에서의 불전도의 존재가 밝혀진 만큼, 앞으로 이 「佛賦」ㆍ「詮源歌」 판화와 직접적인 관련을 보이는 자료나 불화의 작례가 발굴되어 한국 불전도의 연구가 진척되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In Nanzenji Temple in Kyoto, Japan, there are 20 volumes of the 30-volume Eojebijangjeon, which is the First Edition of the Tripitaka Koreana while volumes 17 and 22 through to 30 are all missing. Among them, the volume 21 contains Eojebulbu and Eoje jeonwonga.
    Volume 21 of the Eojebijangjeon engraving prints contains three engraving prints in Eojebulbu and Eojejeonwonga, which have remained out of the spotlight. They display a boundary frame of Vajra which indicates the prints’ association with the illuminated manuscript of Buddhist scriptures, versus previously known Eojebijangjeon prints containing only landscapes. Their detailed contents also display images associated with Shakyamuni’s life, ranging from his birth to his enlightenment and his giving sermons to the people. Thus, the iconography can be compared to what is stated in the Buddhist scriptures. The engraving prints with different themes shown in a script may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wo pieces of bulbu and one piece of jeonwonga, which had been published in a separate book, were incorporated in the process of supplementing the 20-volume Eojebijangjeon first published in 983 C.E.
    The fifteen scenes that are depicted in the three engraving prints in question partly match the contents of bulbu and jeonwonga in Eojebijangjeon. However, it is thought that they found it hard to produce concrete Buddha’s life story images solely with the contents of bulbu and jeonwonga, which were composed in the form of poems with the aim of spreading the Mahayana teachings through the life story of the Buddha. A comparison of these images with the contents of the Buddhist scriptures shows that they match the contents of Lalita-vistara-sūtra to a considerable extent. Thus, these engraving prints appear to have been made using Lalita-vistara as the fundamental scripture for the doctrines, with some images following previously adopted ones.
    A considerable number of images in bulbu and jeonwonga of Eojebijangjeon bear a resemblance to images related to the Buddha’s life represented in Tang banners or to the Dunhuang Mural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the facts about this due to the lack of Korean example of Buddha’s life story paintings from the same era. However, previous studies ascertained that the engraving prints newly incorporated into the First Edition of the Tripitaka exhibited changes in the layout and detailed descriptions despite its adoption of the Tripitaka of Northern Song China(Tripitaka Kai bao) as a base. As it happens, some changes could have been made during the preparation of new printing blocks, with the aesthetic sensibility of Goryeo reflected in them accordingly, although there is no denying that Northern Song had an absolute influence on the entire composition of the images made in Korea.
    Palsangpanhwa (engraving print displaying the eight major phases of Buddha’s life in Worin seokbo(Buddha’s Genealogy), which dates back to 1459, is known as the oldest painting associated with Buddha’s life story in Korea. But, the aforementioned engraving prints in Eojebijangjeon were made in the 11thcentury, although they feature a different form of composition to that of Palsangpanhwa. Thus, the engraving prints in question show that the country did produce artworks depicting other events related to the Buddha’s life than the eight major phases early in the Goryeo Dynasty.
    To conclude, the Eojebulbu and Eojejeonwonga engraving prints of the Eojebijangjeon are important materials that attest to the existence of diverse artworks related to the Buddha’s life in the Goryeo Dynasty. They are also significant in the study of works of art related to the Buddha’s life, as they are unique works that had previously remained buried. They are also considered extremely valuable because Buddhist paintings of this type have never been found so far, either in Korea or in China. It is also hoped that research on Korean works of Buddha’s life story paintings will make progress through the exploration of materials or paintings with a direct bearing on these bulbu and jeonwonga engraving pri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