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이미지의 인용불가능성, 또는 어떻게 ‘콧수염’은 신화가 되었는가? (Unquotability of Cinema Images, Or How a “Mustache” Made a Myth?)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9.10
28P 미리보기
영화이미지의 인용불가능성, 또는 어떻게 ‘콧수염’은 신화가 되었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학 / 79호 / 33 ~ 60페이지
    · 저자명 : 남수영

    초록

    영화 이미지들은 스스로 현실의 일부인 감각할 수 있는 질료다. 그 어떤 말도 이미지로 구성된 영화적 경험을 모두 드러낼 수 없기에, 벨루(Raymond Bellour)는 영화 ‘텍스트’를 가질 수 없는 텍스트(unattainable text)로 칭하고 영화의 인용불가능성을 주장하였다.
    이 연구는 영화의 이미지에는 인용불가능한, 즉 말로 의미화할 수 없는 실재의 잔여물이 남아 있으며, 이는 복제 이미지를 근간으로 하는 영화가 유사성을 추구하는 재현 예술의 중요한 변환점(모더니티)을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랑시에르(Jacques Ranciere)의 주장을 빌면, 영화는 인용을 통해 인용하는 대상(사물들과 같은 물적 이미지의 감각적 재료)의 표면(텍스트)에 새겨진 표현의 역량을 영화의 표현으로 만들어버림으로써, ‘기계적 수동성’을 ‘능동적 변증법’과 동일시하게 되는데, 이러한 영화의 극작술은 영화를 고전적 재현의 ‘신화’ 와 허구의 형태로 진실을 이야기하는 ‘우화’ 사이에서 이해하게 한다. 이 과정에서 허구와 현실 사이, 복제와 원본 사이의 관계는 혼합되어 결국 ‘인용불가능’한 영화만의 세계가 구축된다. 바쟁(Andre Bazin) 역시 영화에 드러난 허구와 진실사이의 분리불가능성을 인용의 관점에서 기술한 바 있는데, 그는 이미 역사 속모방의 대상이 된 캐릭터, 채플린(Charlie Chaplin)의 사례를 들어, 영화 이미지에 근본적인 것과 사후적인 것의 구분이 불가능해졌다고 주장한다. 수없이 모방되었던 그의 콧수염은 영화의 허구와 역사의 진실이라는 희극과 비극 사이에서 공명하며, 원본과 모방 사이의 관계를 재전유하고 서로간의 차이를 무화시키는데, 이것은 영화 예술의 한 효과이기도 하다.
    달리 말하면, 영화는 각자의 고유한 이미지들로 구성되어 있기에 텍스트로 인용불가능한 것이 아니다. 영화의 인용불가능성이란, 영화의 구성 이미지들이 이미 재료와 표현방식이 결합된 채로 존재하기 때문에 인용가능한 원본을 추출하기 불가능하다는 점, 그리고 상호텍스트적 관계 안에서 인용이 이루어졌다하더라도 이를 통해 원래의 텍스트는 결국 무화되기 때문에, 원텍스트에 대한 인식과 인정에 기반하는 인용이 불가하다는 의미일 것이다. 본 연구는 랑시에르의 영화이미지 그리고 인용불가능성에 대한 바쟁의 논의를 통해, 결국 진실에 대한 우화로서 영화가 복제와 모방을 통해 영원한 생명을 얻는 새로운 신화를 완성시키고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이 대체불가능의 신화는 본질이나 영혼이 아니라 의미로 포착되지 않는 실재의 잔존을 지시한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Cinema images are sensible materials that are always out of reality, and since no words can substitute the cinematic experience, Raymond Bellour calls the film ‘unattainable text’ and insists on the impossibility of quotating it.
    This study examines the unquotability of cinema images, the way it resonates with the modernity of cinema as an aesthetic regime. In Jacques Ranciere’s argument, film image makes the capacity of expression engraved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as its own. ‘Passiveness’ of cinema machine that engraves images from nature is now identified with ‘active dialectics’ that creates its own cinematic world, i.e. diegesis. Which is the dramaturgie of cinema that makes film understood between ‘myth’ of classical representation and ‘fable’ of truth-telling in the form of fiction. In this process, the relationship between fiction and reality, and the copy and the original, is mixed, eventually creating a world of cinema that is ‘unquotable’. Andre Bazin also describes the inseparability between fiction and truth revealed in the film in terms of quotation. He argues that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fundamental and the afterlife in the film image: for example, the character of Chaplin is imitated in history and annulled by “the ontological robbery” by Hitler. Chaplin’s mustache, which has been imitated numerous times, oscillates between farce and tragedy, which comes from the ambivalence of cinematic image. This is due to the ontology of cinematic medium, which is unquotable but therefore constantly (re)appropriable.
    In conclusion, this study argues that the film cannot be quoted, but it is not because they consist of their own unique images. It is impossible to extract the original from film because the constituent images of the film are always already combinations of materials and expressions. This study, through the discussion of Ranciere’s film fable and Bazin’s discussion of unquotableness, will eventually imply that the film completes a new myth of eternal life through cloning and imitation. However,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is irreplaceable myth points not to the essence or the existence of soul but to the remnants of the real which are never captured by mea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