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랑의 사회주의적 등정의 불가능성 - 강경애의 『인간문제』론 (The Impossibility of the Socialist Climb of Love - A Study on Gang Gyeongae's Inganmunje)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8.08
39P 미리보기
사랑의 사회주의적 등정의 불가능성 - 강경애의 『인간문제』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55호 / 69 ~ 107페이지
    · 저자명 : 이경림

    초록

    본 논문은 『인간문제』에 나타난 사랑의 역학과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이 소설이 결과적으로 사회주의적 전망 안에서 사랑을 축출하고 있음을 규명하려고 했다. 이 논문은 『인간문제』가 사회주의적 감정으로서의 사랑을 모색해야 한다는 문제의식 위에서 사랑의 가능성을 숙고한 텍스트라 보았다.
    『인간문제』에는 사랑의 ‘사회주의적 등정’ 기획이 함축되어 있다. 사회주의적 관점에서 사랑이 제기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보편적 감정으로서 사랑은 사회주의 운동과 불화하기 쉽다. 두 번째, 사랑의 특수한 종(種)인 ‘연애(戀愛)’는 자본주의 경제체제와 개인주의라는 ‘적’의 진영에 속한 것으로 여겨진다. 세 번째, 그러나 사랑은 사회주의 운동에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자원적 가능성을 가진다. 이러한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문학은 사랑을 사회주의적 목적에 친화적인 것으로 ‘등정’시키는 기획을 시도해왔다. 그 기획은 다음의 세 가지로 도식화할 수 있다. 1)사랑의 ‘하강’: 사랑을 사적 영역에 가두고 그 역할을 제한한다. 2)사랑의 ‘등정’: 사랑을 공적 영역에 포섭하되 동지애의 차원을 포함한 것으로 승화시킨다. 3)사랑의 ‘제거’: 사랑을 공적 영역·사적 영역 모두에서 축출한다.
    『인간문제』에서는 위의 세 가지 기획이 모두 고려되며, 그 궤적은 1)을 지양하고 2)를 모색하지만 그 불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3)에 도달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인간문제』는 사회주의적 여성 주체의 형성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1)을 지양한다. 2)의 가능성을 살피면서 『인간문제』는 사랑이 주체를 나약하게 만들고 운동을 와해시킬 위험성을 면밀하게 숙고한다. 『인간문제』는 이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해 사랑을 동지애로 승화시키려 한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이 모색을 통해 『인간문제』는 사랑과 동지애 사이의 변경불가능한 구조적 차이를 확인한다. 결과적으로 『인간문제』는 사회주의적 주체에서 사랑을 축출한다는 3)의 기획을 택한다.
    『인간문제』는 사랑 대신 동지애와 분노를 사회주의에 적합한 감정으로 표상한다. 동지애와 분노에서는 공통적으로 사회주의적 앎에 의해 함양된다는 ‘사회적 구성’의 차원이 도드라진다. 동지애는 사회주의의 정치적 이상을 공유함으로써, 분노는 개인의 분노를 전체 공동체의 분노로 확장함으로써 유효한 사회주의적 감정이 된다. 결론적으로 둘 중 『인간문제』가 더 중시하는 감정 자원은 분노다.

    영어초록

    By analyzing the dynamics and structure of love shown in Inganmunje(Human Problems), this paper sought to establish that the novel was eventually ousting love within the socialist outlook. This paper viewed the novel as a text that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love on the premise that love as a socialist emotion should be sought.
    Inganmunje contains various plans of 'socialist climb' project of love. From a socialist point of view, the issues that love raises are as follows. First, as a universal emotion, love is liable to conflict with the socialist movement. Second, the special species of love, 'Yeonae', is considered to belong to the 'enemy' camp of capitalist economic systems and individualism. Third, however, love has the potential to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in socialist movements. To solve this dilemma, socialist literature has attempted to tame love to be friendly for socialist purposes. The project can be divided into three plans. 1)Down of Love: Confines love to a private area and limits its role. 2)Climb of Love: Includes love in the public domain, but sublimates it to include the dimension of camaraderie. 3)Removal of Love: Removes love from both public and private areas.
    The three plans above are considered in Inganmunje. The trajectory is summarized as reaching 3) by rejecting 1) and seeking 2) but confirming 2)'s impossibility. Inganmunje rejects 1) by paying attention to the formation of socialist female subjects. Examining 2), this novel carefully considers the danger that love will weaken socialist subjects and disrupt the socialist movement. Inganmunje tries to turn love into camaraderie to eliminate this danger. Paradoxically, however, this novel confirms the irrevocabl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love and camaraderie eventually. As a result, Inganmunje chooses plan 3) to expel love from socialist subjects.
    Inganmunje represents camaraderie and anger in place of love as a suitable emotion for socialism. In camaraderie and anger, the 'social composition' which cultivated by socialist knowledge stands out. By sharing the political ideals of socialism, camaraderie becomes a valid socialist emotion. And by extending one's anger to the anger of the entire community, anger becomes a valid socialist emotion. In the end, anger is the most valid emotion that Inganmunje consid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