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한번역에서 프랑스어 발음의 한글표기 불일치와 대응방안 (Solutions aportées aux désaccords quant à la transcription en coréen de la prononciation du français dans la traduction français-corée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0.11
33P 미리보기
불한번역에서 프랑스어 발음의 한글표기 불일치와 대응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프랑스학논집 / 72권 / 89 ~ 121페이지
    · 저자명 : 이은영, 김미영

    초록

    외래어 표기법은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에서 하나의 조항으로 명시된 이후 1986년 현행 ‘외래어 표기법의 제정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쳤으나 언중의 언어생활에 정착되지 못하고 혼란한 모습을 보였다. 이는 정책적으로 외래어 표기법에 관한 교육과 홍보가 부족해서 표기법이 정착되지 못한 면도 있으나, 사용자들이 국어음운체계에 바탕을 둔 기존 외래어 표기를 수용하지 않고 각 개인의 해당 원음에 대한 지식과 청각인상을 표기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표기상의 혼란이 가중되었기 때문이다.
    지난 20년 동안, 특히 88올림픽을 계기로 여행 자유화, 각종 세계대회 유치, 세계 정보화 산업 주도, 등, 글로벌 시대의 도래로 외국문물이 갑자기 밀려들어오면서, 언론매체들이 외국의 인명, 국가명, 지명 등 생소한 고유명사를 신속하게 한글로 표기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자 자체적으로 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를 만들어 외래어 표기법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 결과 국어 음운체계에 기초한 현행 외래어 표기법은 각국 외래어들을 음차표기하려는 언어 현실과는 점차 멀어지게 되어 오히려 외래어 한글표기에 혼란을 가져오는 장애물이 되어버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유지되어 온 국어 어문규범을 바꾸는 일 자체가 오히려 언어 사용자들에게 더 큰 부담을 줄 수도 있을 것이므로, 표기법 문제가 아무리 시급하더라도 한국어, 외국어 음성음운학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공동논의를 통한 공론화를 거쳐 신중하게 결과를 도출해야 할 중요한 사안인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연구의 궁극적 목적인 최적의 프랑스어 한글표기법 구축에 필요한 기초 작업인 객관적 자료구축이고, 그 다음은 그 자료를 근거로 최적화된 프랑스 발음 한글표기 대응관계 설정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외래어 표기법이 최초로 제정된 1940년 안부터 48년 안, 58-63년 안, 69년 안, 86년 안에 이르기까지 표기개정안 특징들을 조사 검토해서 도표로 제시한다. 넓게는 중요한 쟁점이 되고 있는 외래어 범주 설정 문제, 외래어 표기규범의 기본원리, 표기안의 기본원칙을 재고해서 표기법 개선안 구축을 위한 선결조견을 제시하고, 좁게는 프랑스어 표기세칙에 관한 문제를 다루기 위해, 1940년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불한번역소설 50권과 신문 5종에 나타난 프랑스어 발음 한글표기 사례들을 수집하여, 표기법 개정 시기별로 분류해서 표기실태를 음절 내 위치에 따른 음가별 분석을 통해 자음, 모음표기 분석표를 제시한 후, 불일치의 원인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예상 가능한 표기 목록을 만든다.
    이 표기 목록을 바탕으로 프랑스어 전공자 대상 설문조사, 일반인 대상 타당성 검 사를 실시한 후, 결과분석을 통해 최적화된 프랑스어 발음 한글표기 대응표를 만들고 역방향 타당성 검증을 거친다.

    영어초록

    Nos recherches visent à tenter de résoudre les désaccords quant à la transcription de la prononciation du français en coréen dans la traduction français-coréen. Notre National de la langue coréenne a établi un règlement de transcription pour des mots étrangers et l'a amélioré plusieurs fois. Cependant des désaccords persistent encore quant à la meilleure façon de transcrire en coréen la prononciation du français. D'autre part, la gravité de désaccords s'est accentuée avec le développement de la technologie informatique. Alors, nous nous sommes penchés sur ce problème, en cherchant dans un premier temps les raisons de ces divergences et si nous pouvions ensuite les résoudre par l'examen des documents et au moyen d'enquêtes. Selon le résultat de nos recherches, nous avons établi un programme en huit points : la redéfinition de la catégorie des «mots étrangers» ; l'établissement d'un nouveau règlement de la transcription mieux adaptée à la jeune génération montante et non pour la nôtre, en respectant l'uniformité et la simplicité du règlement ; le principe de la transcription pour garder la prononciation originale ; l'emploi de toutes les lettres de l'alphabet Hangeul ; l'exclusion de la règle des sept consonnes finales ; la réalisation du chuchotement pour les consonnes occlusives finales du français ; la restriction de l'augmentation syllabique ; le service du système pour l'auto-transcription sur internet.
    D'abord, nous avons considéré la catégorie des «mots étrangers» et nous l'avons divisée en trois parties : des emprunts complètement intégrés à la langue coréenne ; des mots empruntés mais non-intégrés ; des mots totalement étrangers. Ce sont les mots empruntés et les mots étrangers que nous avons définis comme «mots étrangers». Les mots empruntés sont instables et provisoires pour l'instant mais ils s'intégreront par la suite, soit dans les emprunts, soit dans les mots étrangers eux-mêmes selon le choix de la jeune génération montante à l'aide du nouveau règlement rétabli sur la base de nos propositions. Donc, seul le règlement pour la transcription des «mots étrangers» est nécessaire. Nous avons finalement dressé le tableau du nouveau règlement sur la transcription de la langue française et nous avons vérifié sa validité par une enquête en sens inverse (retranscription du coréen en français). La restitution est aussi très importante pour l'auto-traducteur ou pour des étrangers qui apprennent le coréen.
    Une collaboration synthétique entre des phonéticiens et des phonologues des langues étrangères et coréenne est désormais indispensable afin de rétablir le nouveau règlement sur la transcription de toutes les langues étrangè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프랑스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