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88년作 기림사 삼세불화의 성격과 봉안처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 and place of 1788 )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2.08
42P 미리보기
1788년作 기림사 삼세불화의 성격과 봉안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도문화연구 / 46호 / 163 ~ 204페이지
    · 저자명 : 신현경

    초록

    본고에서 다루는 <기림사 삼세불화>는 현재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박물관에 소장및 전시되어 있으며, 모사본으로 기림사 대적광전 중단에 봉안되어 있다. 본 불화는 다른불화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형식을 갖추고 있는데, 상단과 하단을 구획하여 한 폭에두 주제의 도상을 각각 도해하고 있다는 점이다. 상단은 석가여래, 아미타여래, 약사여래로 구성된 ‘공간적 삼세불’ 도상이며, 하단은 이시동도법을 사용한 서사적 줄거리가 있는‘청록산수 인물 도상’으로 구성되었다.
    한 화면에 별개의 두 도상이 도해되어 있을 때 다른 하나를 후대에 덧붙여 제작하였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불화 화기의 위치와 함께 처음부터 화면을 정확하게 구획을나누고 있고, 이후 추가 보수의 흔적이 없어 두 도상은 특수한 목적으로 동시 제작된불화임을 알 수 있다. 이에 필자는 본 불화의 하단도상이 기림사 ‘창건 연기설화’에 입각해 도해 되었고, ‘창건 연기설화’를 토대로 당시 사찰의 ‘사세증진(寺勢增進)’을 위해조성한 것으로 해석했다.
    이 같은 해석은 선행 연구자들에 의해서도 시도되었다. 필자는 이에 덧붙여 상·하2단 구도의 형식과 특별한 제작 목적으로 보아 두 가지 성격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즉 본 불화는 조선후기에 유행한 공간적 삼세불을 표현한 ‘삼세불화(三世佛畵)’이면서 상단과 하단도상의 유기적 해석을 통해 ‘변상도(變相圖)’라는 이중적 성격을 갖는다.
    필자가 본 논문에서 가장 주안점을 둔 것은 불화의 원 봉안처 문제였다. 현재 기림사대적광전 중단에는 모사본이 봉안되어 있는데, 이곳이 원 봉안처였는지는 재고의 여지가있다. 불전 내부 삼단 가운데 여래를 표현한 ‘삼세불화’가 중단에 봉안된 예를 현재로서는 찾을 수 없고, 대적광전 중단과 하단에 봉안된 불화의 현황을 볼 때 봉안처에 재고의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불화의 원 봉안처를 기림사 사적기, 문헌자료, 불화의 화기, 20세기 초 사진 자료 등을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 왕실의 안녕을축원한 ‘성수전(聖壽殿)’으로 추정했다. 성수전은 현재는 전하지 않지만 20세기 초에촬영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 유리건판 사진을 참조로 해 기림사 내 그 위치를 확인했다.

    영어초록

    <Girimsa Three states of existence Buddhist painting>(祇林寺 三世佛畵)is currently enshrined in the Gyeongju Campus Museum of Dongguk University, and is a copy of it in the Daejeokgwangjeon Hall of Girimsa. This Buddhist painting has a unique form that cannot be seen in other Buddhist paintings, and the top and bottom are separated and two paintings are drawn in one screen. The upper part depicts Sakyamuni Buddha(釋迦如 來), Amitabha Buddha(阿彌陀如來), and Bhaisajyaguru Buddha(藥師如來) in space, and the lower part is a painting of landscape painting with an epic plot. If the two paintings are divided into two screens, it can be thought that they were overlaid on posterity, but this Buddhist painting was produced for a special purpose because there was no sign of additional repairs along with the location of the pictorial record.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bottom image of this Buddhist painting was based on the story of the founding of Girimsa, and this Buddhist painting is a special purpose to promote the history of the temple. Considering the unusual form of the two-stage composition and the purpose of the production, this Buddhist painting should be understood not only in the ‘Buddha 204 남도문화연구 제46집(2022.8) Painting’(如來圖) of Space Three Buddha(三世佛), which was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t also in the category of ‘Sutra illustration transformation Painting.’(變相圖) through organic graphic interpretation.
    In addition, there is room for reconsideration about the suspension of the Daejeokgwangjeon Hall of Girimsa, where a copy of this Buddhist painting is currently enshrined. This requires re-estimation, such as that there is no case of sealing the ‘Buddha Picture’ in the middium space and that it does not match the size of the currently enclosed wall at the bottom. Therefore, considering the historical records, other literature, and the context of the Buddhist painting, the original burial site of this Buddhist painting is presumed to be “Seongsujeon,”(聖壽殿) which can only be confirmed in the records, not the current place. 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Seongsujeon,”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enshrined based on glass dry plates of the Governor-General of Joseon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photographs of Girimsa in the early 20th century, can be confirm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