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효녀 설화에 나타난 가산(家産)의 의미와 가족윤리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and Family Ethics of Family Property in the Tales of the Unfilial Daughter)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9.04
23P 미리보기
불효녀 설화에 나타난 가산(家産)의 의미와 가족윤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이화어문논집 / 47호 / 73 ~ 95페이지
    · 저자명 : 정경민

    초록

    구전설화에서 가장 가치 있는 이야기로 인식되는 동시에 가장 다양한유형의 이야기로 전승되는 설화는 ‘효’와 관련된 설화이다. 그런데 효행의주체가 미혼 아들, 기혼 아들, 며느리의 경우에는 효/불효 설화가 다양하게 전승되는 반면 미혼의 딸의 경우에는 효녀 설화로, 기혼의 딸의 경우에는 불효녀 설화로 전승되는 특징을 보인다. 본고는 친정부모-기혼의 딸관계에 있어 딸의 ‘효’ 관련 행위 방식이 ‘불효’라는 공통된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 주목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먼저 딸이 친정부모에 대해 불효 행위를 하는 설화들을 불효녀 설화라고 명명하고, 그 유형을 네 가지로 나누어 『한국구비문학대계』에서 추출하였다. 네 가지 유형을 분석한 결과 불효 행위는 대체로 친정 가산의 분배 문제와 밀접한 관련을 보였다. 이는 여성이 가산의 분배에서 완전히제외되고, 출가외인 담론으로 인해 친정에서 배제되었던 가족질서의 변화에 따른 것이라 할 수 있다.
    불효녀 설화에서 출가한 딸의 불효 행위는 노골적인 외부인 취급, 즉 ‘배제’에 대한 감정적 소외, 불만에 기초하고 있으며, 시집의 열악한 경제사정으로 인한 현실적 필요에 의해 추동되었다. 그런데 설화에서는 딸 개인의 탐욕으로 서사화되어 윤리적 비난의 대상이 되고, 이는 다시 딸의 무용론으로 이어지는 순환구조를 보인다. 그런데 딸을 출가외인이라고 배제하면서도 부모로서의 권위는 인정받으려는 친정 부모의 이중적인 태도는 결국 딸과의 불화로 귀결된다. 친정 가산에 대해 어느 정도 권리가 있다고 생각하는 딸들의 모습과 기혼 딸의 존재를 완전히 배제하는 친정 식구들, 또 딸은 소용없다면서도 실제적인 봉양을 기대하는 부모의 이중적인 태도 등은 결국 부자연스러운 가부장제 가족질서의 모순을 드러낸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e stories, recognized as the most valuable of oral tales and handed down to the most diverse types of reproductions are those related to -'filial behavior'-. In the case of unmarried sons, married sons, and daughters-in-law, the subject of the act is reinterpreted in various ways, while in the case of married daughters, it tends to remain the story of an unfilial woman.
    In this study, stories of unfilial daughters are extracted from the Korean Gubi Literature Grand Prix and divided into four types. Analysis of these four types show that unfilial behavior was largely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family property.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change in the family order, where women are completely excluded from the distribution of family property and from their families due to “chul-ga-oe-in” discourse.
    The daughter's unfilial behavior is based on the emotional alienation and dissatisfaction of the explicit outsider, and driven by the realistic needs of a poor economic situation in her marital home. However, in the story, it is described as the greed of the daughter and becomes subject to ethical criticism which shows a circular structure, leading again to the theory of the useless daughter. The dual attitude of parents who want to be recognized as such while excluding their daughter as an outsider eventually leads to disagreement with their daughter. Daughters thinking they have some right to their family property and parents’ dual attitudes are ultimately contradictory to the unnatural patriarchal family or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화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