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원도·불·강철이: 문화유산으로서 강철이 설화의 가능성 (Gangwon-do, Fire, and Kangcheol-i: Potential of the Kangcheol-i Story as Cultural Heritage)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4.09
48P 미리보기
강원도·불·강철이: 문화유산으로서 강철이 설화의 가능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74호 / 147 ~ 194페이지
    · 저자명 : 이예지

    초록

    강철이는 ‘강철이 간 곳은 가을도 봄이다'라는 속담으로 알려져 있는 한반도 동부 지역에 전승되는 요괴로, 지금까지는 이무기 유형의 하나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구비 전승되는 강철이 설화에 따르면, 영남 지역의 강철이 설화에서는 강철이가 이무기가 타락한 존재로 나오는 반면, 강원도 강철이 설화에서 강철이는 이무기나 승천과 관련 없는 ’불‘과 관련된 요괴로서 나타나고 있다.
    먼저, 강철이 전승 중 가장 이른 것은 문헌으로, 이수광의 『지봉유설』이다. 『지봉유설』에서는 ‘강철이 간 곳은 가을도 봄이다'라는 속담과 함께 가뭄을 일으키는 요괴로 소개된다. 구비 전승은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강원도 지역의 강철이 설화는 강철이라는 호명이 대부분 단독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강철이 전승은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강원도 강철이 전승에서는 ‘불’과 관련된 표현이 자주 나타난다. 이처럼 강원도 강철이 설화가 타지역과 차이가 나는 것은, 지역민 집단 사이에서 ‘강철이’에 대한 인식이 다르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강원도 지역민의 인식이란, 강원도 지역의 사회문화적 특성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이때, 강원도 지역의 사회문화적 특징은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먼저, 강원도 영서 지역은 예부터 화전 농업이 잦았던 지역인데 구비 전승되는 강철이 설화에서 나타나는 기우제의 형태는 화전민 기우제의 형태에 해당한다. 다음으로는 강원도의 지리적, 기후적 특징이다. 강원도 영서 지역은 건조한 기후로 인한 가뭄과 산불이 잦은 지역이었다. 또한, 화전을 위해 놓은 불이 커져 산불이 되는 경우도 많았다.
    이 두 가지 배경으로 강원도에서 강철이 설화는 타지역의 강철이 설화보다 ‘불’과 연관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게 되었을 것이다. 이는 강원도 화전민들에게 화재라는 공동체험이 ‘강철이’라는 명명(命名)을 통해 분화, 강화되었을 것이며 이는 타지역의 강철이와 다른 전승양상을 만들어내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화전민 기우제와 화재라는 강원도의 지역성을 보여주는 강철이 설화는 21세기까지 그 전승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지역 설화 무형문화유산으로서 작은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강철이와 같이 주목받지 못했던 다양한 요괴 표상을 재점검하는 과정을 통해, 한국 요괴 설화를 새롭게 읽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Kangcheol-i is a legendary monster from the eastern part of Korea, known from the proverb “Wherever Kangcheol-i goes, autumn and spring are also spring.”, and has been recognized as a type of Imugi. However, according to oral traditions, Kangcheol-i appears as a corrupted Imugi in the Yeongnam region, whereas in the Gangwon-do, Kangcheol-i is a monster associated with fire, unrelated to Imugi.
    The earliest record of Kangcheol-I is found in Jibong Yuseol by Lee Soo-gwang. The oral folktale is centered in the Gangwon-do region, and Gangwon-do tale tends to use the name Kangcheol-i alone.
    The lore centered on Gangwon-do frequently includes references to “fi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angwon-do tales and those of other regions seems to stem from the distinct local perception of fire.
    There are two main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Gangwon-do region. First, the Yeongseo region of Gangwon-do historically practiced slash and burn farming. The form of the rainmaker rituals in the folk tale of Kangcheol-i corresponds to those of “slash-and-burn” agricultural rainmaker rituals. Next is the geographical and climatic characteristics of Gangwon-do. Gangwon-do is a region prone to forest fires, and Yeongseo was a region prone to droughts and forest fires due to its dry climate.
    With these two backgrounds, steel tales in Gangwon-do tend to be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fire than those in other regions. For slash-and-burn agriculturalists in Gangwon-do would have created a different transmission pattern from other regions.
    In this way, the story of Kangcheol-i, which shows the regionalism of Gangwon-do in slash-and-burn agriculture and fire, has been passed down until the 21st century, and since it is a story that reflects the lifestyle of the local people, it may have some significance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