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애임즈 변환에 의한 불가능도형의 3차원모형 (Impossible Figures' 3D Model by Ames Transform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09.06
9P 미리보기
애임즈 변환에 의한 불가능도형의 3차원모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0권 / 3호 / 233 ~ 241페이지
    · 저자명 : 심복섭

    초록

    공간의 사물을 관찰할 때 그것이 실물이건 사진과 같은 복제품이건 우리가 사물을 사물로써 인식한다는 점에는 큰 차이가 없다. 인간의 눈은 항상 ‘망막의 상’이라고 하는 2차원의 평면정보를 3차원의 공간정보로 변환하는 과정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애임즈 변환’은 이렇게 평면정보를 공간정보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한 조형적 고찰이다. 이 변환과정을 거치면 3차원에 재현할 수 없는 ‘불가능도형’을 3차원모형으로 재현하는 일이 가능해 지는데, 여기에는 관찰자의 시점이 깊이 관여하고 있다. 즉 불가능도형이 가지고 있는 모순된 평면정보에 시점을 개입시켜 쓸모 있는 공간정보로 변환하는 것이다. 변환을 통해 모순된 정보구조는 공간적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연속성이 확보된 공간정보는 3차원모형을 구축하는 단서가 된다. 이렇게 구축된 3차원모형은 열리거나 뒤틀린 구조적 변이를 통해 착시를 만들어낸다. 우리는 그것을 보는 순간 마치 자신의 뇌가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의식하는 것을 즐기기라도 하듯 묘한 혼란에 빠진다. 그리고 이를 통해 조형적 호기심과 즐거움의 충족은 물론 뇌의 움직임에까지 간섭하려는 심리적인 의도를 직감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불가능도형의 불가사의한 매력을 작품에 담거나 애임즈 변환으로 풀어내는 여러 예술가의 시도와 족적을 통해 그 조형적 의미와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시각예술분야에 대한 일시적인 주목이 아니라, 애임즈 변환이 조형활동과 조형교육에 있어 혁신적 사고와 발상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매력적인 존재이며 나아가 여러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기초조형의 근거로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When we observe an object of space, we can recognize it as an object regardless if it is the real object or a duplicate. That's because our eye processes the 2D information 'the image on the retina' into a 3D space information. In this study I look at how Ames transforms the plane information into spacial information, and how to reproduce the impossible figure into a 3D model. The observer’s visual point is deeply involved. That is, it is to transform into the useful space information by involving the visual point in the inconsistent plane information of impossible figures. The plane information contradicted by transformation can obtain the spatial continuity, and the space information of continuity becomes a trace for implementing the 3D model. Such the implemented 3D model ha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al imperfection. When we look at it we falls into a strange confusion, like enjoying knowing how the brain works. Through it, we can satisfy our curiosity and enjoyment and can directly feel a psychological intention of trying to intervene even in the brain’s process. This study is intended to improve the formative meaning and possibility through many artists’ attempts and traces that contain the impossible figures’ mystery attraction or is interpreted by Ames transformation. It is because this is not a temporary observation for the visual art field, but is the attractive existence which can transform the innovative thinking and idea in the formative activity and the formative education. Furthermore, it can be understood as the base of available Basic Design and Art in many fiel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