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관촉사 석조보살입상의 圖像 - 尊名 불일치 문제와 ‘世間’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Icon and the Name of the Standing Stone Bodhisattva Statue of Gwanchoksa Temple and the Earnest Wishes of the People)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5.03
39P 미리보기
관촉사 석조보살입상의 圖像 - 尊名 불일치 문제와 ‘世間’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17호 / 123 ~ 161페이지
    · 저자명 : 신은영

    초록

    이 글에서는 관음의 도상을 하고 있지만 오랫동안 ‘은진미륵’으로 불려왔던 관촉사 석조보살입상의 圖像 - 尊名 간 불일치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석해 보았다.
    종래 관촉사 석상의 도상-존명에 대한 논의에서는 觀音 혹은 彌勒인지를 둘러싸고, 한편에서는 도상에 치중하여 역사적으로 연고가 긴 ‘은진미륵’이라는 명칭을 오류로 보거나 반대로 ‘은진미륵’이라는 명칭을 살리기 위해 감산사 석조보살입상이라는 예외적 도상에 연계시켜 설명하는 방식을 취해왔다. 여기서는 관촉사 석상의 존명을 전하는 자료들이 도상적 사실의 반영이라기보다는 이 상에 대한 당대의 呼稱일 수도 있다는 점, 하나의 석불에서 도상 - 존명이 불일치하는 현상이 그렇게 희귀한 사례가 아니라는 점 등을 근거로 하여 이러한 불일치 현상의 기제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관촉사 석상의 도상 - 존명 불일치가 분석할 만한 역사적 현상이라는 점을 뒷받침하기 위해 석상의 조성 주체와 의도, 양식사적 위치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관촉사 석상은 市津(오늘의 논산) 지역의 호족이 만든 지방적 양식의 석불이 아니라, 후백제 지역의 지방화라는 정치적 목적을 裨補寺塔風水라는 담론적 실천을 통해 해결하려는 의도로 조성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양식사적 측면에서는 기존의 토착․토속의 혼용을 구별하고, 고려 전기의 독자적인 양식의 성격을 토착으로 설정하여 개태사에서 시작하는 토착적인 계열의 정점에 관촉사 석상을 위치시켰다.
    다음으로 관촉사 석상의 도상-존명 간 불일치 문제를 해석하기 위해 현존하는 석불들의 도상 - 존명 간 불일치 유형을 두 가지로 나누고, 이를 관촉사 석상의 불일치 문제와 관련시켜 해석하였다. 그 하나의 가능성은 본래 가지고 있는 도상과 상관없이 석불들이 모두 미륵으로 불리는 경우인데, 이러한 기제로 관촉사 石像도 ‘미륵’으로 존명이 전화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고유섭과 이능화가 말한 바 있는 ‘世間’의 개입으로 “석불들은 모두 미륵”으로 통칭되는 것이다. 다른 하나의 가능성은 감산사 석조보살입상과의 관련성에서 관촉사 석상의 불일치 문제를 파악하는 것인데, 후대에 외적 요인으로 인해 불리는 이름이 바뀐 것이 아니라, 어떤 이유에서였는지는 모르지만, 애초에 관음상을 미륵으로 부를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렇지만 관음의 도상에 미륵이라는 이름이 시초부터 각인되었다 하더라도 미술사의 대상이자 객관화된 차이의 체계로서의 도상이 무의미해지는 것은 아니다.
    불교미술사에서 대상이 되는 석불의 존명과 도상 판명은 중요한 작업이다. 그렇지만 이 작업에서는 도상 - 존명의 일대일 대응이라는 규범적 판단이 정상성으로 작용하여 불일치를 비정상으로 배제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제는 이러한 불일치도 오류가 아닌 과거에 일어났던 하나의 사실로서 인정하고, 願望 - 尊格 - 圖像 사이의 불일치 현상을 여유 있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할 때 그 불일치를 만들어 낸 ‘世間’의 존재가 시야에 들어올 것이다. 불일치란 다른 측면에서 본다면, 과거 사람들이 자신들의 간절한 소원을 각인시킨 흔적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주어진 재료와 물려받은 빈약한 도상적 상상 속에서나마 자신의 원망을 불어넣으려 했던 과거 사람들의 노력을 우리가 알아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cerns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icon and the name of the Standing Stone Bodhisattva Statue of Gwanchoksa Temple that had long been called ‘Eunjinmireuk(Maitreya of Eunjin)’ despite its iconographic features of Avalokiteśhvara.
    In the past, as to the icon-name discussions of the statue, one group of experts regarded ‘Eunjinmireuk’, a name with long history, as an error based on the icon, whereas others attempted to provide explanations in connection with the exceptional icon of the stone statue of Bodhisattva at Gamsansa Temple with the aim to support of the relevance of the name. In this study, the mechanism behind the inconsistencies was examined based on the fact that the name of the stone statue at Gwanchoksa Temple provided in the historical records may be a nominal designation used in reference to the statue at the time, rather than a reflection of the iconographic facts, and that such inconsistencies between the icon and the name are not rare among Buddha statu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provide support that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icon and the name of the statue is worth analyzing, the creator and intent behind the creation of the statue and its position in the pattern history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one statue at Gwanchoksa Temple was not created by a powerful clan in the Sijin region (present-day Nonsan) and does not display the regional pattern. Rather, it was speculated that it was created with an intent to fulfill a political objective, which was localization of the post-Baekje region, through discursive practices of geomantic topography regarding buddhist temples and pagodas designed and positioned to supplement the energy of the surrounding region. In the aspect of pattern history, the folk and indigenous elements were distinguished, with the peculiar pattern in the early Goryeo Dynasty was set forth as an indigenous element, thereby positioning the stone statue at Gwanchoksa Temple at the pinnacle of the indigenous branch originating from Gaetaesa Temple.
    Next, in order to analyze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icon and the name of the stone statue, the inconsistencies found in other stone statues of Buddha were divided into two types. They were then analyzed in relation to the inconsistency found in the stone statue at Gwanchoksa Temple. One possibility is that all stone statues of the Buddha were called Mireuk, regardless of their respective icons, and it was speculated that the stone statue at Gwanchoksa Temple came to be called ‘Mireuk’ based on this mechanism. As Ko Yu-seop and Lee Neung-hwa mentioned, “all stone statues of Buddha are called Mireuk” based on the earnest wishes. Another possibility is related to relevance of the stone statue of Bodhisattva at Gamsansa Temple. The name of the stone statue at Gwanchoksa Temple was not changed due to an external factor later on, but it was speculated that statues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were originally called Mireuk, for unknown reasons. However, even if the name Mireuk was initially imprinted for the icons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is does not make the objectified differences of icons themselves meaningless in art history.
    Determining the name and icon of stone statues of Buddha, which comprise a part of Buddhist sculpture history, is an important process. However, there are tendencies for normative judgments, suggesting that there should be a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the icon and the name, and this in effect eliminate inconsistences as abnormal. In response to this, there is a need to acknowledge such inconsistencies as an occurrence of the past, not an error, and to examine the inconsistencies among desire, name and icon in a flexible and tolerant manner. This is when it will be possible to see the earnest wishes that brought forth such inconsistency. In a sense, an inconsistency could be viewed as the traces of the earnest wishes of the people that were engraved.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see the efforts spurred by the people in the past to breathe life into their desires in the iconographic imagination that has been passed on and the given materi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0 오후